ADVERTISEMENT

평창올림픽 성화는 아테네서만 채화, 패럴림픽은 8곳 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1면

장애인 테니스 국가대표를 지낸 이용로(가운데)씨가 3일 평창 패럴림픽 성화 합화식에서 웨어러블 로봇을 착용하고 성화를 넘기고 있다. [연합뉴스]

장애인 테니스 국가대표를 지낸 이용로(가운데)씨가 3일 평창 패럴림픽 성화 합화식에서 웨어러블 로봇을 착용하고 성화를 넘기고 있다. [연합뉴스]

또 하나의 겨울 축제, 2018 평창 패럴림픽을 빛낼 불꽃이 타올랐다. 올림픽 발상지 그리스 아테네에서 채화된 올림픽과는 달리 패럴림픽 성화는 국내외 여덟 개 지역에서 채화된 뒤 3일 하나로 합쳐졌다.

안양·논산·고창·청도·제주 5곳과 #영국·88기념관·디지털 불꽃 합쳐 #이번 대회주제 8, 눕히면 무한대 ∞ #장애 뛰어넘는 무한한 능력 의미

지난 2일 경기 안양, 충남 논산, 전북 고창, 경북 청도, 제주 등 5개 지역에서는 평창 패럴림픽 성화가 각각 채화됐다. 각 지역을 달린 성화는 3일 서울 올림픽공원 평화의 광장에 마련된 합화식장으로 옮겨졌다. 여기에 올림픽공원 평화의 광장에서 보관 중인 1988년 서울 여름 장애자올림픽(당시 명칭) 성화 불씨를 더했다. 패럴림픽 발상지인 영국 스토크맨더빌에서 채화된 불과 디지털 성화는 영상으로 전달됐다.

평창 겨울패럴림픽 조직위원회가 국내외 8개 지역의 불꽃을 모은 건 이번 대회의 주제가 ‘8’ 이기 때문이다. 유호연 평창조직위 성화봉송팀 매니저는 “8을 옆으로 눕히면 무한대(∞)가 된다. 장애를 뛰어넘는 인간의 능력은 무한대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성화봉송 기간 역시 8일(2일~9일)이고, 봉송 구간은 2018㎞, 주자도 800명이다. 성화 봉송은 동행의 의미를 담아 2인 1조로 구성됐다. 채화식의 콘셉트는 액운을 보내고 복을 불러들이는 정월대보름 ‘달집태우기’ 행사에서 빌려왔다. 유호연 매니저는 “마침 2일이 정월대보름이었다. 달집태우기 행사가 활발한 고장 중 지역을 안배해 5곳을 채화 장소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하나가 된 패럴림픽 성화는 도종환 문체부 장관의 손을 거쳐 전 장애인 테니스 국가대표 이용로와 공경철 서강대 기계공학과 교수에게 건네졌다. 이용로는 장애인의 보행을 돕는 웨어러블 로봇 ‘워크온’을 착용하고 성화를 봉송했다. 동반자 공경철 교수는 워크온의 개발자다. 4일까지 서울을 누빈 성화는 9일 평창에 도착한다.

한편 배동현 단장이 이끄는 한국 선수단 본진은 3일 오전 평창선수촌에 입성했다. 훨체어컬링 대표팀을 제외한 5개 종목의 선수와 임원 등 71명은 4일부터 본격적인 패럴림픽 적응 훈련에 돌입했다. 입촌식은 6일 오전 10시 열린다. 이번 패럴림픽에선 남북 선수단이 최초로 한반도기를 들고 공동입장한다. 북한은 2012년 런던 패럴림픽과 2016년 리우 패럴림픽에 선수를 보냈지만 남북 공동입장은 하지 않았다. 이번 대회에 북한은 노르딕스키에만 남자 선수 2명을 파견했다.

김효경 기자 kaypubb@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