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영미~영미~’에 열광한 과학적 근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국 여자 컬링 대표팀의 스킵 '안경선배' 김은정. [일간스포츠]

한국 여자 컬링 대표팀의 스킵 '안경선배' 김은정. [일간스포츠]

2018년 평창올림픽에서 세계를 놀라게 한 대한민국 여자 컬링 대표팀이 지난 25일 아시아 최초의 은메달을 이끌었다. 한국은 예선에서 세계 1~5위를 모두 쓸어버렸고, 23일 4강전에선 연장 끝에 일본을 꺾었다. 일본전 연장 11엔드 마지막 드로우샷은 국내외에서 화제가 됐다. 아직도 스킵(주장) 김은정(28ㆍ경북체육회)의 ‘영미, 영미, 영미~~’를 외치던 여운이 강하게 남아있다.

네 명의 선수가 상대팀의 스톤 앞에 서서 구수한 경상도 사투리로 “야를 때리고 자를 치우고…”라며 작전을 주고받는 말투도 기억에 남는다. 또 김은정이 경기 중에 “쨀까?” “기달려” 등 화끈한 사투리도 화제를 모았다.

그렇다면 김은정 선수의 외침 ‘영미~~’가 단순히 선수들 간 의사소통 역할만 했을까-.

26일 충북도립대 생체신호분석연구실 조동욱 의료전자기기과 교수는 김은정이 경기 중 외친 음성을 공포영화 속 여배우의 비명과 비교한 연구 결과를 내놨다. 조 교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외침은 다급할 경우에 행해지는 음성으로 음 높이가 높고, 음성에 실리는 에너지도 강하다. 이같은 외침은 위급함과 다급함을 느끼는 상태에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음성의 안정도(주파수변동률인 지터, 진폭변동률인 짐머, 조화로움을 측정하는 NHR)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여자 컬링에서 은메달을 차지한 김은정 선수(주장)는 평창 최고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뉴스1]

여자 컬링에서 은메달을 차지한 김은정 선수(주장)는 평창 최고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뉴스1]

그러나 김은정이 경기 중 외친 ‘영미’는 이와 달리 안정감이 있다. 비교 실험 결과 김은정의 음높이는 337.459㎐이고, 공포영화 여배우의 음높이는 316.671㎐였다. 김은정이 다소 높았고, 음성 에너지 역시 김은정이 75.578㏈로 공포영화 여배우의 74.201㏈보다 높았다. 대신 음성 주파수의 변동률 등을 통해 분석한 변동 폭은 김은정이 훨씬 낮게 나타났다. 그러니까 김은정이 외친 ‘영미~~’는 다급함과 긴장감뿐만 아니라 팀 동료 선수에게 내 말을 믿고 함께 하자는 안정감과 신뢰감이 있는 목소리라는 거다.

공포영화 흥행 1순위 여배우와 김은정의 외침에 대한 음성 분석 결과. [자료 충북도립대학교 생체신호분석연구실 조동욱 교수]

공포영화 흥행 1순위 여배우와 김은정의 외침에 대한 음성 분석 결과. [자료 충북도립대학교 생체신호분석연구실 조동욱 교수]

김은정,승리를 부르는 외침. [일간스포츠]

김은정,승리를 부르는 외침. [일간스포츠]

조 교수는 김영미의 목소리가 동료들에게 긴박함과 동시에 신뢰감을 안겨 ‘나를 믿고 해보자’는 울림을 준 것으로 해석했다. 여기에 경북 의성 출신인 컬링 대표팀의 사투리 억양도 경기를 흥미롭게 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조 교수는 “일반적으로 억양이 있을 경우 활발한 사람이라는 인상을 준다”며 “억양이 실린 의성 사투리에 목소리를 듣는 동료와 관중 모두 흥겨운 기분을 느낀 것”이라고 밝혔다.

안경선배의 뜨거운외침. [일간스포츠]

안경선배의 뜨거운외침. [일간스포츠]

조 교수는 “이 목소리를 들은 우리 국민도 ‘영미!’라는 외침에서 경기에 대한 긴박함과 박진감을 느끼고, 안정감과 신뢰를 동시에 갖게 됐을 것”이라며 “김은정의 목소리로 경기에 대한 재미와 이길 것이라고 신뢰하게 돼 컬링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국민적인 열광이 연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