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원안위원장에 ‘탈원전’ 강정민 … 신고리 5·6호기도 반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강정민 원안위 위원장(左), 권태성 권익위 부위원장 (右)

강정민 원안위 위원장(左), 권태성 권익위 부위원장 (右)

문재인 대통령은 29일 신임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에 강정민(52) 미국 NRDC(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천연자원보호위원회) 선임연구위원을 임명했다.

공론화 때 사고위험 주장한 전문가 #원전 재가동 여부 정하는 조직 맡아 #일각선 “탈원전론자가 가면 안 돼” #권익위 부위원장엔 조국 고교선배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강 위원장은 원자력 안전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한 원자핵공학자”라며 “원자력 안전 기술규제기준과 현장규제 역량 강화 등 원자력 안전 규제 정책의 투명성과 소통을 강화하고 독립기구로서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적임자”라고 인선 배경을 설명했다.

강 위원장은 경남 김해 출신으로 김해고와 서울대 원자핵공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대에서 시스템양자공학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원과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대학원(SAIS) 객원연구원,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초빙교수를 지냈다.

과학기술계 관계자는 “강 위원장은 핵 비확산, 핵무기 정책, 원자탄 등 특정 원자력 분야에서 기술 분야와 정책 분야를 아우르는 국내에서 드문 전문가”라고 평가했다.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처장도 “핵연료·핵안보·원자력안전 분야 국내 최고 전문가”라고 말했다.

다만 강 위원장의 최근 행보에 대해선 평가가 엇갈린다. 최근 2~3년 동안 원자력 발전의 위험성을 부각하는 입장이었는데 과거와 다른 모습이란 지적이다. 특히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과정에서 건설 재개를 반대하는 쪽의 전문가로 참여해 원전 사고의 위험성 등을 주장하기도 했다. 청와대 주변에선 문 대통령의 탈원전 정책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발탁된 인물이란 평가다. 원전을 가동하거나 폐쇄하거나 혹은 원전의 수명을 연장하려면 반드시 원안위 허락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원자력계 관계자는 “탈원전을 주장하는 사람은 결코 원안위 위원장 직을 맡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양이원영 처장은 “탈원전론자는 ‘원전 제로’를 주장하는데, 강 위원장은 이런 주장을 내세운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제2대 원안위 위원장을 역임했던 이은철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명예교수는 “외부에서 탈원전을 주장하기는 쉽지만 막상 위원장 입장에서 현실을 보면 원자력 안전의 중요성을 절감할 수 있다”며 “정치적 색깔을 떠나 원자력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이 원안위 위원장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장순흥(전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 한동대 총장은 “개인적으로 특정 정당의 입장을 지지할 수는 있겠지만 원안위원장은 국가 원자력 발전의 안전을 유지하는 책임이 있는 자리”라며 “객관적인 법·원칙에 따라 냉정하게 임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그것(신고리 원전 공론화 참여)과는 관련 없이 종합적 차원에서 원안위의 역할에 걸맞은 활동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에는 권태성(56) 현 권익위 기획조정실장을 임명했다. 박 대변인은 “제도 개선 분야에 정통한 관료로 거시적인 시각과 업무조정 능력을 바탕으로 국민의 고충 처리 및 권익구제, 국가 청렴도 향상 등 권익위 역할 강화와 위상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권 부위원장은 부산 출신으로 혜광고와 고려대 행정학과를 졸업했으며, 단국대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행시 29회 출신으로 국무조정실 새만금사업추진기획단장, 국무조정실 정부업무평가실장, 국민권익위원회 상임위원 등을 지냈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의 고교 3년 선배이기도 하다.

문희철·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