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경량…이동통신망 활용 17g짜리 위치추적기 개발

중앙일보

입력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한국환경생태연구소가 최근 개발한 17g짜리 초소형 위치 추적기를 괭이갈매기에 부착한 모습 [사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한국환경생태연구소가 최근 개발한 17g짜리 초소형 위치 추적기를 괭이갈매기에 부착한 모습 [사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인공위성이 아닌 이동통신망을 활용해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에서 한국이 세계를 선도하게 됐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19일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초경량 야생동물 위치추적기(위성항법장치, GPS)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위치추적기는 무게가 17g, 가로 4.9㎝, 세로 3.7㎝, 높이 1.6㎝로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위치추적기 중에서는 전 세계에서 가장 가볍다.

이번에 개발된 초경량 위치추적기.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위치 추적기로는 전 세계에서 가장 작은 제품이다. [사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이번에 개발된 초경량 위치추적기.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위치 추적기로는 전 세계에서 가장 작은 제품이다. [사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이번 위치추적기는 환경부와 환경산업기술원의 '환경정책기반 공공기술 개발사업'의 하나로 (주)한국환경생태연구소가 2015년 12월부터 진행한 과제를 통해 개발됐다. 정부가 지원한 연구비는 5억원이다.
이번 위치추적기는 같은 기술을 사용하는 해외 제품(캐나다 로텍, 25g)과 비교할 때 30% 이상 무게를 줄인 것이다.
환경산업기술원 권성안 기술개발2실장은 "인공위성을 직접 활용하는 9g 무게의 해외 위치추적기가 장비와 위성사용료 등에 약 1000만원이 들어가는 것과 비교하면 장비 가격과 통신사용료가 약 180만원으로 80%까지 저렴하다"고 말했다.

초경량 위치추적기를 보석거북에 부착한 모습 [사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초경량 위치추적기를 보석거북에 부착한 모습 [사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이 추적기는 방수 기능도 갖추고 있어 양서파충류와 같이 수중과 육상을 오가는 동물의 이동행태 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태양전지를 이용한 자가충전 방식을 적용해 최대 3년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추적기에는 데이터 저장 기능도 들어있어 이동통신망과 연결되지 않는 시베리아나 몽골 등지로 철새가 이동하더라도 약 6개월 동안 데이터를 저장했다가 통신망과 재연결되면 바로 전송하게 된다.
연구진은 지난 9월부터 최근까지 괭이갈매기 두 마리를 대상으로 이번 위치추적기의 성능 실험을 진행했고, 충남 태안 인근 서해안에서 이동 경로 데이터를 전송받는 데 성공했다.

초경량 위치 추적기를 사용해 추적한 괭이갈매기 이동 경로 [자료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초경량 위치 추적기를 사용해 추적한 괭이갈매기 이동 경로 [자료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또 8월부터는 붉은귀거북과 보석거북에도 부착해 방수기능과 수압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정확도도 점검했다.
한국환경생태연구소 이한수 대표는 "인공위성의 경우는 위치를 추적하는 데 오차가 수 킬로미터까지 나기 때문에 장거리 이동하는 철새에 유용하지만, 이동통신 방식은 위치를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어 국내 이동 상황을 파악하는 데는 훨씬 유리하다"고 말했다.

청둥오리에 초경량 위치 추적기를 부착한 모습 [사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청둥오리에 초경량 위치 추적기를 부착한 모습 [사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이 대표는 "세계적으로 오리류가 조류인플루엔자(AI)를 전파하고 있는 것으로 우려되고 있는데, 이번 초경량 위치추적기로 몸무게가 작은 홍머리오리나 원앙 등도 추적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기존에 무거운 추적기로는 몸무게가 1㎏ 정도인 청둥오리에는 적용이 가능했지만, 몸무게가 500~800g인 홍머리오리나 원앙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됐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서는 연구 목적으로 야생동물에 위치 추적기를 부착할 때 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동물 몸무게의 3%를 초과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