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소형 무장헬기(LAH) 시제기 내년 11월 나온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LAH

LAH

국산 소형무장헬기(LAH)가 내년 11월 첫선을 보인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달 28일부터 1일까지 경상남도 사천 본사에서 ‘소형무장헬기(LAH) 체계개발 상세설계검토(CDR)회의’를 열고 최종 설계검토를 했다고 5일 밝혔다. 이 회의에는 KAI와 육군을 포함 국내 산ㆍ학ㆍ연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43명의 검토위원과 방위사업청 한국형헬기사업단(단장 이상명 준장),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협력업체 등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에서 철저한 기술검토가 이뤄졌으며, 그 결과“상세설계가 양호하게 수행됐고, 최종조립단계 진행이 가능하다”는 결론이 났다. 시제기 최종조립이 승인됐다는 뜻이다. 시제기는 본격 양산에 앞서 테스트 목적으로 만든 기체다.

내년 5월 시제기 최종조립을 착수한 뒤 11월 시제 1호기를 출고(Roll out)한다는 게 KAI가 세울 일정이다. 이후 2019년 5월에 초도비행(First Flight)에 나설 계획이다.

LAH 사업은 한국 육군이 운영할 소형무장헬기를 국산 개발하는 사업이다. 육군의 노후 공격헬기인 500MD와 AH-1S를 성능이 우수한 무장헬기로 교체하는 게 목적이다. 2015년 6월 사업이 착수됐으며 지난해 8월 기본설계가 끝났다.

LAH는 최대 이륙중량 4.9t, 최고 속도 시속 324㎞, 최대 항속거리 905㎞, 최대 비행시간 4시간 42분 등 비행성능을 갖춘다. 20㎜ 기관포가 달려 있으며 70㎜ 로켓 14발 또는 대전차미사일 4발을 장착할 수 있다.

LAH의 기본 뼈대는 유로콥터의 베스트셀러 헬기의 AS365의 최신 버전인 EC155이다. 여기에 첨단 장비를 가미해 새로운 헬기를 만들겠다는 게 KAI의 목표다. LAH를 기반으로 민수용 헬기인 LCH도 만들기로 했다. KAI는 군수용과 민수용을 합해 1000대 이상을 판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사업 착수가 여러 번 뒤로 미뤄지면서 성공 가능성을 낮게 보는 의견도 있다.

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