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생후 34일’ 여아 사망…대학병원 억대 배상 “의료진 분유 섭취량 확인 안 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해 6월 한 대학병원을 찾은 생후 34일 된 신생아가 입원 치료 중 사망했다. 기도 폐쇄성 질식으로 인해 숨진 것으로 추정됐다. [중앙포토]

지난해 6월 한 대학병원을 찾은 생후 34일 된 신생아가 입원 치료 중 사망했다. 기도 폐쇄성 질식으로 인해 숨진 것으로 추정됐다. [중앙포토]

인천의 한 대학병원에서 링거용 정맥주사를 맞다가 숨진 생후 34일 여자아이의 유족이 병원 운영자인 학교 법인을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해 총 2억원대의 배상 판결을 받았다.

인천지법 민사16부(부장 홍기찬)는 숨진 A(1)양의 부모가 인하대 병원 운영자인 학교 법인 정석인하학원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했다고 29일 밝혔다.

재판부는 응급상황에서 기도확보를 하지 않은 과실이 있다고 보긴 어렵다며 피고의 책임 비율을 60%로 제한해 병원 측이 A양의 부모에게 총 2억2000여만원을 지급하라고 명령했다.

법원에 따르면 생후 34일 된 A양은 지난해 6월 23일 몸에 열이 38도까지 올라 인천시 중구 인하대병원에 입원했다. A양의 어머니는 한 달 전 출산한 인천의 한 산부인과에 먼저 딸을 데려갔다가 “큰 병원으로 가 보는 게 좋겠다”는 말을 듣고 이 대학병원을 찾았다.

A양은 나흘째 입원 치료를 받던 같은 달 27일 오후 4시 11분쯤 간호사로부터 링거용 정맥주사를 맞은 직후 얼굴색이 새파랗게 변하는 청색증을 보였고, 심정지 후 끝내 숨졌다. 부검 결과 심정지를 일으킬 질병은 없었고 기도 내에서 분유가 배출된 기록 등으로 미뤄 기도 폐쇄성 질식으로 인해 숨진 것으로 추정됐다.

재판부는 “의료진은 피해자에게 정맥주사를 놓기 전 분유가 역류해 기도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고 섭취한 분유량을 미리 확인했어야 함에도 그러지 않았다”며 “병원이 정한 수유 후 1시간 이후에 정맥주사를 처치한다는 원칙도 (의학적으로) 명확한 근거를 찾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