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단독] 지난해 경주에서도 ‘액상화’ 현상 발견됐다

중앙일보

입력

지난해 9월 경북 경주시에서는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했다. [중앙포토]

지난해 9월 경북 경주시에서는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했다. [중앙포토]

지난해 9월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한 경북 경주시에서도 ‘액상화'로 추정되는 현상이 발견됐음이 확인됐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질연)은 지진이 발생한 이후 경주 지역의 지질을 분석하고 있다. 이들이 조사를 위해 땅을 약 3m 깊이로 팠을 때 물이 흐르는 부분이 나타났다. 폭은 약 1m, 두께는 30~40cm 정도다. 연구팀은 이것을 액상화 현상으로 보고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이 액상화 현상이 지난해 경주 지진으로 생긴 것인지, 그보다 더 전의 지진으로 생긴 것인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은 상태다.

지질연의 선임연구원인 김용식 박사는 “5~10m 정도 깊이에서 발견됐다면 지난해보다 더 전에 발생한 지진으로 생긴 액상화일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약 3m 깊이부터 발견됐기 때문에 지난해 경주 지진으로 인해 생긴 것일 수 있다고 보고 연대기 측정을 진행하고 있다”고 21일 말했다.

액상화는 신생대 제4기 지층(250만년 전~지금)에서 생긴다는 게 학계의 일반적 설명이다. 이 지층은 퇴적물들이 아직 돌로 굳지 않아 입자 사이에 물이 들어갈 수 있는 상태다. 퇴적학을 전공한 김 박사는 “경주도 모든 지역이 다 단단한 화강암인 것은 아니다. 형상강 등 강이 있고 부분적으로 퇴적층으로 된 지역이 있다. 이런 곳들에서 액상화 현상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경주 지진 당시 지표면에서 액상화의 현상들이 생겼더라도 지금 포항에서처럼 눈으로 발견하긴 힘들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당시 9월의 경주는 지금의 포항과는 상황이 매우 달랐다. 흙이나 모래가 지표로 올라오는 등의 액상화 현상이 있었더라도 비에 금방 씻겨져 내려가거나 벼와 다른 식물들로 인해 눈에는 잘 보이지 않았을 것이다”고 말했다.

20일 기상청ㆍ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합동조사단이 경북 포항시 흥해읍의 논에서 액상화에 대한 조사를 하고 있다. 프리랜서 공정식

20일 기상청ㆍ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합동조사단이 경북 포항시 흥해읍의 논에서 액상화에 대한 조사를 하고 있다. 프리랜서 공정식

한편 기상청과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포항 지진의 액상화 현상을 조사하기 위해 20일부터 시추 작업에 들어갔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연구원들과 지진을 연구하는 여러 대학의 전문가들도 포항으로 모여 조사를 하고 있다.

손문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팀은 진앙이 있는 흥해읍뿐만 아니라 도심인 북구 포항고교 등 일부 학교 운동장에서 액상화 현상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또 진앙과 10㎞ 이상 떨어진 남구 송도동 주택가와 해수욕장에서도 액상화로 추정되는 현상이 발견돼 조사가 진행 중이다.

포항=송우영 기자 song.wooy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