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진경보 문자, 빨라지긴 했는데...최근 기상청 감사 결과 봤더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경북 포항지역에 15일 규모 5.4의 강진이 발생한 이후 여진이 이어졌다. 서울 광화문 등에서도 지진이 감지됐고, 기상청은 긴급 재난 문자를 통해 안전에 주의해달라고 알렸다.

 이날 서울 동작구 기상청에서 남재철 기상청장은 포항 지진이 감지된 지 19초 만에 조기 경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에 경주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는 재난 문자가 전달되는데 10분이 걸려 조기 경보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후 기상청은 올 7월 3일부터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25초 이내에 ‘신속 정보’를 제공하고, 이어 5분 이내에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지진 통보 서비스를 바꾸겠다고 밝힌 바 있다.

 감사원은 지난 8월 이와 관련해 기상청에 대한 감사 결과를 내놨다. 당시엔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

 기상청은 2015년 1월부터 지진조기경보 제도를 도입해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예상되는 경우 지진조기경보를 발령한다. 발령조건은 ‘최소 15개 관측소에서 20번 이상 P파를 탐지하고, 20초 이상 지속될 때’로 잡았다. 반면 일본 등 외국에서는 지진조기경보를 발령할 때 최소 2~6개의 관측소의 정보만 사용해 신속성을 높였다. 그 결과 일본은 지난해 발령한 일곱차례 지진경보 특별경보에 평균 7.2초가 소요됐다. 반면 한국은 평균 26.7초였다. 감사원은 당시 “발령 조건을 8개 관측소 탐지로만 바꿔도 오보율에 큰 차이 없이 12~17초를 단축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당시 감사 결과에서는 지진관측의 사각 지대도 확인했다. 기상청은 2010년 7월 지진관측에 드는 시간을 5초 이내로 줄이기 위해 관측소 간에 적정거리(18㎞)를 유지하는 내용이 포함된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망 종합계획’을 수립해 발표했다. 이에 따라 총 314개의 관측소가 격자망 형태로 필요하다며 당시 운용 중인 150개 지진관측소 외에 164개를 신설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감사 결과 계획대로 316개 관측소를 구축하더라도 국내 면적의 약 20%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관측 공백이 확인됐다.

 감사원 관계자는 “휴전선 일대와 동해안과 태백산맥에 인접한 강원도ㆍ경북 일부 지역에선 관측 간격이 넓어 5초 이내 관측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82개 관측소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기상청이 현재 운영하고 있는 182개 지진관측소에서는 주변 배경의 잡음, 가속도 센서 이상 등의 원인으로 지진 미탐지율이 4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유미 기자 yumip@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