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우수평가대학] 실용적 명품교육, 수시 경쟁률 서울 1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7면

서경대는 ‘현장중심 융복합 창작지향’ 교육에 초점을 두고 있다. 또 차별화된 특성화·실용화·국제화 교육으로 지원자가 증가하고 있다. 사회 수요와 시대 요구에 맞게 교육 과정과 체제를 과감하게 바꾸는 등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사진 서경대]

서경대는 ‘현장중심 융복합 창작지향’ 교육에 초점을 두고 있다. 또 차별화된 특성화·실용화·국제화 교육으로 지원자가 증가하고 있다. 사회 수요와 시대 요구에 맞게 교육 과정과 체제를 과감하게 바꾸는 등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사진 서경대]

서경대학교 실용음악학과는 602대 1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서경대는 2018 수시에서 경쟁률 22대 1로 서울지역 대학(1만 명 이하 규모 대학) 중 1위, 전국 9위를 기록했다.

서경대에 이처럼 지원자들이 몰리는 이유는 다른 대학과 차별화된 특성화·실용화·국제화 교육에 따른 결과다. 또 사회 수요와 시대 요구에 맞게 교육 과정과 체제를 과감하게 바꾸는 등 변화를 선제적으로 만들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문학·역사·철학과 어학을 분리시켜 인문학은 문화콘텐츠학과로, 언어는 국제비즈니스어학부로 묶어내고 국제비즈니스어학부는 4개 학과를 통합했다. 영어를 필수 전공으로 나머지 일어·중어·노어·불어를 선택 전공으로 둬 최소 2개 국어를 전공하도록 했다. 국내 최초로 실무 현장과 동일한 프로덕션 시스템을 교육과정에 도입하고 학과 간 협업 시스템을 구축한 것은 서경대만의 독특한 변화라 할 수 있다.

미용 관련 학과를 학사·석사·박사 과정으로 운영한다. 단과대학 규모로 미용예술대학을 신설한 것은 서경대가 최초다. 교육과정을 창의·문제해결·대인관계·글로벌·자기계발·실무 등 미래 핵심역량 중심으로 개편했다. 또 창의·융합형 인재를 키우기 위해 국내 최대 규모인 370여 개의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교양수업을 체험과 활동 중심으로 바꾼 것도 국내 대학에선 보기 드문 혁신 사례다.

예술대학의 약진도 두드러진다. 2018년도 수시에서 6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72대 1이었던 지난해에 이어 강세가 지속되면서 예대 강자로 급부상했다. 수험생이 서경대 예대를 선호하는 이유는 실용음악학과·공연예술학부·영화영상학과·음악학부·디자인학부·무용예술학과·뮤지컬학과 등 이른바 ‘스타 학과’가 많기 때문이다. 또 프로덕션 수업, 전공 간 협업, 1인 제작 시스템, 산학협력 교육 등 이른바 ‘현장중심 융복합 창작지향’ 교육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경대는 프로듀서나 음악·안무 감독 등 현장 전문가를 교수로 영입해 가르치고 있다. 각종 첨단 고가 장비와 레코딩스튜디오, 콘서트홀 등 국내 최고 시설에서 전문지식과 실용능력을 키우는 명품교육도 정평이 나 있다. 현장과 연계나 진입이 쉽고 취업률 또한 높은 것도 지원자들이 서경대를 주목하는 이유 중 하나다.

서울 대학로에 짓고 있는 첨단 문화예술 공연장인 서경예술센터가 내년 봄에 개관하면 서경대 예대의 일류화 플랜은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서경대의 특성화·차별화 교육에 예술센터가 학생의 공연 및 취업의 전초기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용예술대학의 도약도 눈부시다. 지난 2018 수시에서 3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뷰티 분야 지망생이 가장 가고 싶어 하는 대학으로 지명도가 높다. 국내 최고의 교수진과 뷰티아트센터 등 첨단 교육시설, 표준화된 교육 프로그램과 실무 중심의 최적화된 교육환경이 도약의 동력원이다. 서경대 미용예술대학 재학생은 국내외 유수 미용대회에 참가해 최고상을 석권하고 있다. 서경대는 외국인 유학생 수가 서울지역 대학(1만 명 이하) 중 두 번째로 많다.

서경대는 최근 급변하는 사회 변화에 맞춰 미래형 대학을 향한 교육혁신안을 마련해 실천에 옮기고 있다. 먼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미래형 학교발전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이 플랜에는 서경대가 지향하는 미래형 실용교육 중심 대학의 특성화 모델 개발과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서경대 발전 방향이 담겨 있다.

교육과정 인증제를 통해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도모하고, 교과목 인증을 통해 개설되는 교과목의 수준과 사회적합성 등을 관리하고 있다. 또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교육모델이 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국제 표준화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송덕순 객원기자 song.deoks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