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측 "DJ 노벨평화상 취소 계획? 있을 수 없는 일"

중앙일보

입력

이명박 전 대통령이 지난 2009년 8월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본관 앞에 마련된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공식 빈소를 찾아 조문을 마친 뒤 돌아서고 있다. [중앙포토]

이명박 전 대통령이 지난 2009년 8월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본관 앞에 마련된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공식 빈소를 찾아 조문을 마친 뒤 돌아서고 있다. [중앙포토]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보수단체를 앞세워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을 취소해달라고 청원을 하는 등의 계획을 세웠다는 의혹에 대해 이명박(MB) 전 대통령 측이 전면 부인했다.

이 전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김효재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1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한민국 대통령이 전직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취소를 생각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말했다.

김 전 수석은 "국정원 직원이 개인적인 일탈 차원에서 노벨평화상 취소에 대해 언급했을 수는 있겠지만 어떻게 정권 차원에서 그럴 수가 있나"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가) MB 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전선이 부담스러워 DJ를 끌어들였다"며 "DJ 이야기를 하면 국민의당이 반발할 것을 알고 DJ 이야기를 흘렸다"고 덧붙였다.

앞서 사정 당국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전담 수사팀은 국정원 심리전단 직원 A씨와 보수단체 간부 B씨가 주고받은 이메일을 압수해 분석한 결과 이들이 김 전 대통령의 서거 이후 노벨상 취소를 위해 노르웨이 노벨위원회에 청원서를 보내는 방안을 상의한 사실을 확인했다.

또 김 전 대통령의 3남인 더불어민주당 김홍걸 국민통합위원장이 이명박 정부가 김 전 대통령의 국장을 꺼렸다고 주장한 데 대해서도 MB 측은 적극적으로 반박했다.

김 전 수석은 "이희호 여사가 제일 고마워한 사람이 이 전 대통령"이라며 "이명박 정부는 김 전 대통령을 어떻게 모셔야 하는지 확실한 생각이 있었다. 이 전 대통령이 당초 국장을 하려고 했다는 것은 하늘이 알고 땅이 안다"고 강조했다.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 역시 "이 전 대통령은 김 전 대통령 서거 열흘 전 이미 국장에 대한 결심이 서 있었다"며 당시 청와대 정무기획비서관을 맡아 국장 문제를 처리했기 때문에 자신이 이 사안을 가장 잘 안다고 해명했다. 이어 "김홍걸 위원장이 당시 진행 상황을 잘 모르고 한 이야기"라며 "이희호 여사에게 물어보면 당시 상황을 정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지난 8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장례를 국장으로 하는 것도 2~3일 지체하다 마지못해 결정했고 방송에서 추모 특집이 나가는 것이나 문상 기간도 축소하려 했다"며 "심지어 동작동 국립현충원에 모시는 것도 자리가 없다며 다른 곳을 찾으라 권하기도 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당시 어머니가 장례를 조용히 말썽 없이 치르고 싶어 하셨기 때문에 이런 사정을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조용히 끝냈다"고 전했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