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공룡 플랫폼 네이버 … “편집 따라 여론 양극화 부추길 수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디지털 혁명으로 누구나 정보를 생산해 유통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플랫폼 사업자들의 독과점 체제는 오히려 강고해졌다. 뉴스 시장에서 이런 현상은 더 두드러진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가 137개 뉴스 생산·유통 사이트를 조사한 ‘2015 여론집중도 조사’에서 네이버의 점유율이 55.4%로 나타났다. 2위인 다음은 22.4%, 3위인 네이트가 7.4%였다. 나머지 신문·방송사 134곳 점유율을 모두 합한 수치는 14.8%였다. 3개사에서 80%가 넘는 독과점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포털 중 뉴스검색 점유율 71% #뉴스 노출 편집권 사실상 독점 #설문 응답자 51% “포털도 언론”

그중 독보적인 존재는 네이버다. 올해 1~9월 웹마케팅 분석업체 비즈스프링이 분석한 ‘포털사이트별 뉴스·미디어 검색 점유율’에서 네이버는 70.75%를 차지했다. 2, 3위인 다음과 구글은 각 10%대에 그쳤다. 이 때문에 네이버를 독점 기업으로 보고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미국에선 최근 사실상 독점 기업인 페이스북과 구글에 대한 강제분할 주장까지 제기됐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관련기사

신생 매체들은 ‘네이버 노출 언론사’ 지위만 획득하면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이런 신생 매체 상당수는 네이버 검색 순위에 오른 실시간 검색어 관련 기사를 남발하는 ‘어뷰징’을 통해 클릭수를 늘리고 있다. 포털의 검색 순위 공개 기능이 언론을 혼탁하게 만드는 일을 돕는 셈이다.

실상이 이렇지만 공정거래위원회가 사실상 독점 사업자인 네이버를 규제한 건 2008년 한 차례가 전부다. 시장지배적 사업자인 네이버가 동영상 공급 업체와 불공정 거래를 했다며 2억2700만원의 과징금을 물렸다. 네이버 측은 “그 과징금 관련 소송에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 언론과 국회를 제외하면 독점기업이라고 주장하는 곳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유통 독점에 따른 다른 부작용도 있다. 지난 12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포털뉴스의 정치 성향과 가짜뉴스 현상에 대한 시사점’이란 보고서를 통해 “포털이 소비자 기호에 따라 뉴스를 편집하다 보면 결과적으로 여론 양극화를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을 했다. 보고서를 쓴 최동욱 연구위원은 “포털까지 페이스북처럼 개인 선호에 따라 뉴스 서비스를 하면 ‘여론 양극화’가 더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여론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포털을 ‘언론’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도 각계에서 나온다. 교수와 언론인 지망생 1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 가운데 절반 이상(51명)이 “포털이 언론이다”고 답했다. 특히 언론 전공 교수 3분의 2에 해당하는 20명이 이같이 답했다. 포털이 뉴스를 직접 생산하지 않더라도 이를 노출할 수 있는 ‘편집권’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한국언론재단이 실시한 ‘언론 수용자 의식조사’에서도 응답자 가운데 56%가 포털을 언론으로 인식한다고 답했다.

자유한국당은 지난 8월 네이버 등 포털이 사실상 언론의 기능을 한다며 각종 책임과 규제를 적용토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네이버 관계자는 “뉴스 생산을 하지 않기 때문에 네이버는 언론사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최규진·하준호 기자 ha.junho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