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영등포점ㆍ서울역점 3개월 후 폐점 위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롯데마트 서울역점. [중앙포토]

롯데마트 서울역점. [중앙포토]

정부가 서울역사와 영등포역사의 상업시설을 오는 12월 1일까지 국가에 귀속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롯데백화점 서울 영등포점과 롯데마트 서울역점 등 유통시설이 폐점 위기에 놓였다. 올해 말 새 사업자를 찾기 약 3개월 전에 정부가 이러한 사실을 결정하면서 혼란을 키웠다는 비판도 나온다.

민자역사와 유통시설 간 계약, 올해 말 만료 결정 #국토부, 입점업체 피해엔 아직 결론 못 내린 상태

이들 점포에 입점한 협력업체와 임대매장을 운영하는 사업자들은 길게는 30년간 운영해온 사업을 접어야 할 처지가 되면서 4000명에 달하는 매장 종사자의 일자리를 정리해야할 상황이다. 특히 롯데백화점 식당가, 미용실 등을 운영하는 임대 상인들도 약 100일 남기고 생계가 막막해졌다.

영등포역사는 롯데가 1987년 정부로부터 백화점 영업권을 받았다. 낡은 영등포역을 새로 단장한 뒤 롯데는 30년 후 기부하기로 약속하고 1991년 영등포점을 열었다.

서울역사는 한화가 30년째 운영권을 허락받았다. 한화는 2004년부터 롯데에 통째로 재임대했다. 롯데는 서울역에 롯데마트 서울역점을 열었다. 서울역점은 전국 롯데마트 중 매출 1~2위를 다투는 점포다. 요즘도 외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은 대형 점포로 꼽힌다.

가장 난색을 표한 곳은 롯데다. 이에 대해 롯데 관계자는 “국가 결정에 성실히 따라야겠지만, 2014년부터 정부에 가이드라인을 요청한 걸로 아는데 아무 말도 없다가 이제서야 한 결정이라 당황스럽다”고 했다.

국토교통부는 이들 역사의 새로운 점용 사업자를 선정하기 위해 경쟁 입찰에 부친다는 계획이다. 관련법상 점용 허가기간이 만료되면 원상회복, 국가 귀속, 점용 기간 연장 등 3가지 방안 중 하나를 택하도록 규정돼 있다. 기존사업자도 연장하려면 경쟁 입찰에 참여해야 한다. 다만 기존 점용 사업자와 계약해 입점한 소규모 점포들을 퇴거시킬지에 대해서는 국토부도 결론을 내리지 못한 상황이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