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북한과 대화, 해법 아니다” 트윗 … 아베와 연이틀 통화, 대북 압박 강화 논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북한이 29일 사실상 미국을 겨냥한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을 발사하자 도널드 트럼프(얼굴) 미국 대통령이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연일 날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튿날인 30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에 “미국은 지난 25년간 북한과 대화해왔고 터무니없는 돈을 지불해왔다”며 “대화가 해법이 아니다”고 적었다. 앞서 발사 당일에는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트럼프 “25년간 터무니없는 돈 지불” #안보리, 대북 규탄 의장성명 채택 #왕이는 “6자회담 하자” 제재 차단

트럼프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이틀 연속 통화도 했다. 두 정상은 29일 아침에 이어 30일 오후 11시30분부터 전화통화로 대북 압박 강화 방안을 협의했다. 아사히신문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추가 제재를 목표로 한다는 방침을 확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이날 전했다.

29일 안보리는 4시간에 가까운 비공개 긴급회의 끝에 15개 이사국 만장일치로 북한을 규탄하는 의장성명을 채택했다. 미사일 발사 뒤 26시간 만에 나온 성명은 북한의 이번 도발을 “역내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고 세계의 안보 우려를 증가시키는 너무나도 충격적인(outrageous) 행동”이라고 규정한 뒤 “강하게 비판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의장성명이란 형식은 안보리가 통상적으로 채택해 온 언론성명보다 한 단계 격이 높다. 북한에 대해 안보리가 의장 성명을 채택한 것은 이번을 포함해 네 번밖에 되지 않는다. 중국과 러시아도 찬성했다. 하지만 추가 제재 결의 채택은 합의되지 않았다. 미국·일본과 중국·러시아 간 입장은 크게 엇갈렸다.

니키 헤일리 주유엔 미 대사는 의장성명 채택 뒤 “미국은 그들(북한 정권)이 불법을 계속 저지르도록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에 류제이(劉結一) 주유엔 중국 대사는 “최근 채택한 안보리 결의 2371호는 더 많은 대북 제재 조치를 담고 있으며, 6자회담 재개와 평화적이고 외교적이며 정치적인 해결 필요성을 명시하고 있다. 각국은 이를 준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가 제재보다는 기존 제재의 이행에 방점을 찍은 것이다.

이날 베이징에서 “(북한 미사일 도발은)유엔 결의 위반으로, 국제사회의 핵 비확산 체계를 훼손하는 행위”라면서도 “각국이 대화와 북핵 6자회담을 재개하기를 촉구한다”고 강조한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의 언급도 같은 취지였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30일 “미·일 양국 정부가 유엔 안보리에서 대북 석유금수 조치를 제기할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뉴욕=심재우 특파원, 서울=유지혜·김상진 기자 jwsh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