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강남·서초권 1조원 규모 토지보상…'8년 만에 대규모 보상'

중앙일보

입력

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중앙포토]

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중앙포토]

내년 서울 강남, 서초 지역에 1조원 규모의 토지보상금이 풀릴 전망이다.

28일 부동산개발정보 사이트 '지존'에 따르면 내년 서울 강남에서 1조원 규모의 토지 보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강남, 서초권에서 대규모 토지보상이 이뤄지는 것은 지난 2010년 강남 세곡, 서초 우면 등 보금자리주택지구 이후 8년 만이다.

토지보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 지역은 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과 서초구 방배동 성뒤마을,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된 강남구 수서역세권 3곳이다.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은 전체 면적 26만6304㎡ 규모로 현재 사업 시행자인 SH공사가 주민과 토지 보상을 위한 측량과 물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일부 주민과의 갈등으로 당초 계획보다 지연되고 있지만, SH공사는 지장물 조사가 끝나는 대로 감정평가를 거쳐 내년 상반기 중 토지 보상을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이곳 주거용지에는 임대주택 1107가구를 비롯해 주상복합 등 2692가구가 들어설 예정이다.

강남구 수서와 자곡동 일대의 수서역세권 공공주택지구는 내년 6월 보상이 이뤄질 전망이다.

38만6390㎡ 규모로 지난해 6월 지구지정에 이어, 올해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국토교통부에 지구계획 승인을 신청했다.

철도시설을 중심으로 업무, 상업, 주거 기능이 더해지는 역세권 복합개발이 추진되며 연내 지구승인이 이뤄지면, 이후 감정평가를 거쳐 내년 6월에 보상금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성뒤마을 부지는 면적 13만7684㎡로 공공주택 600가구와 민간주택 600가구가 들어선다. SH공사가 오는 10월 지구지정, 내년 하반기 지구계획 승인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 보상계획이 확정되지 않아 유동적이지만, 현시세 등을 고려할 때 1조원 규모의 토지 보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주택이나 상가 등 수익형 부동산 시장으로 일부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