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논·밭에 빌딩 숲 ‘상전벽해’ 세종시, 교통 인프라 아직 부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가 착공 10주년을 맞았다. 2007년 7월 당시 논밭이던 세종시 아름동에 고층 아파트와 상가들이 빼곡하게 들어서 있다. [사진 세종시]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가 착공 10주년을 맞았다. 2007년 7월 당시 논밭이던 세종시 아름동에 고층 아파트와 상가들이 빼곡하게 들어서 있다. [사진 세종시]

“엊그제 같은 데 벌써 10년이 지났네요. 처음에는 어떻게 도시를 만들까 걱정했는데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모습을 보니 감회가 새롭네요.” 지난 18일 세종시 금남면에서 만난 노태훈(49)씨의 말이다. 세종시(옛 연기군) 토박이인 노씨는 “옛 모습이 모두 사라져 아쉽지만,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도시가 되니 뿌듯하다”고 말했다.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 착공 10년 #부처 이전하며 인구 27만까지 늘어 #정부, 행안부·과기부 이전도 추진 #충청권 인구 흡입 ‘블랙홀’ 부작용 #부동산 광풍, 투기 과열 몸살 앓기도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행정도시)가 지난 20일로 착공 10주년을 맞았다. 7월 1일은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한 지 5년이 되는 날이기도 했다. 지난 10년간 세종시는 ‘상전벽해(桑田碧海·큰 변화를 의미)’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발전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난 22일 세종 호수공원에서 열린 ‘행정중심복합도시 착공 10주년 및 세종시 출범 5주년 기념식’에서 “10년 전 이곳은 논·밭이었지만 지금은 고층 아파트와 공공기관으로 가득한 대한민국에서 가장 특징적인 신도시로 변했다”며 “국가균형발전 정책과 지방분권을 추구하는 정부는 세종시의 더 큰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정부는 지난 19일 국정운영 계획 및 국정과제를 발표하면서 “실질적 행정수도로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서울과 과천에 있는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세종으로 이전하고 국회 분원도 설치될 전망이다. 서울~세종간 고속도로도 조기 착공될 예정이다.

행정도시 건설사업은 2007년 7월 20일 첫 삽을 뜨면서 본격화했다. 면적 465㎢ 규모인 세종시는 기존 충남 연기군 전체와 공주시, 충북 청원군 일부를 흡수했다. 신도심은 순환교통망을 따라 중앙행정과 문화·국제교류·대학·연구시설 등 6개 생활권으로 배치됐다. 2012년 국무총리 비서실, 국무조정실, 조세심판원을 시작으로 2014년까지 36개 부처·기관이 세종으로 이전했다. 2016년에는 국민안전처와 인사혁신처가 옮겨오면서 40개 중앙행정기관 이전이 마무리됐다. 지난해 말 기준 세종시에 입주한 중앙기관의 공무원 수는 1만4699명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15개 정부출연기관 3545명도 세종시에 정착했다.

세종시 출범 당시 10만3127명(2012년 7월)이던 인구는 지난달 말 기준 26만6997명으로 증가했다. 자동차 등록 대수는 2012년 12월 4만7580대에서 지난해 말 11만358대로 늘었다.

행정도시 개발에 따른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 부동산 광풍이 불면서 불법으로 분양권을 전매한 공무원이 무더기로 적발됐고 투기를 부추기는 ‘떳다방’도 각종 위법행위를 저지르다 대거 사법처리를 받았다. 검찰과 국세청, 세종시 등이 대대적으로 단속을 벌이고 ‘공무원 특혜분양’ 기준을 강화했지만 아파트 분양권에 웃돈(프리미엄)이 1억원 이상 붙는 등 투기 열기는 식지 않고 있다. 대전과 충북 청주, 충남 천안 등 인접 도시의 인구가 세종시로 이동하면서 ‘충청권 블랙홀’이라는 별칭도 생겼다. 지난 3월 대전에서 세종으로 이동한 인구가 1814명으로 전체 순 이동 인구(3391명)의 53.5%를 차지했다. 이어 충북 11.4%, 서울 7.5%, 충남 천안 3.8% 등으로 전입인구 3분의 2가량이 충청권이었다.

좁은 도로와 부실한 대중교통 시스템도 시급한 현안이다. BRT(간선급행버스체계)는 일부 동네만 지나간다. 대중교통 활성화를 기본으로 만든 도로는 좁고 자가용이 몰리면서 출퇴근시간마다 교통난이 벌어진다. 행정도시건설청은 1068억원을 투입해 내년 상반기까지 정부세종청사 주변에 복합주차시설을 만들기로 했다. 세종시는 인근 대전·충남·충북 등과 협의, 반경 40㎞ 광역도시권을 대중교통망으로 연결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세종참여자치시민연대 김수현 사무처장은 “지난 10년간 정치적 이유로 민간부문 개발이 차질을 빚어 도시건설이 2년가량 늦어졌다”며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에 따라 행정수도가 완성될 수 있도록 모든 세종시민이 힘을 합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신진호 기자 shin.jin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