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문재인식 사드 해법, 중국에 통할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청와대 집무실에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으로부터 걸려온 대통령 당선 축하 전화를 받고 있다. [사진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청와대 집무실에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으로부터 걸려온 대통령 당선 축하 전화를 받고 있다. [사진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한미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 체계 배치 결정 이후 냉각된 한중관계 회복을 위해 사드 대표단을 중국에 파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한중 양국 정상은 빠른 시일내에 정상회담을 개최키로 합의했다.

후보 시절 사드 배치 여부는 새 정부에서 다시 논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온 문 대통령이 취임 이틀만에 중국에 '문재인식 해법'을 제시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낮 12시부터 40여분간 이뤄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에서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관심과 우려를 잘 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청와대 윤영찬 홍보수석은 밝혔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사드 문제와 북핵 문제를 별도로 논의할 대표단의 중국 파견 계획과 함께 빠른 시일내에 직접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고, 시주석은 문 대통령의 베이징 방문을 공식 초청했다.

청와대 윤영찬 홍보수석은 이와 관련, “사드 대표단과 북핵 대표단을 별도로 보내겠다는 의미”라며 “구체적인 규모와 파견시점은 결정되지 않았고 향후 외교부 실무 협의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의 제안에 중국 외교부도 통화가 끝난 지 불과 약 2시간 만에 양국 정상간 통화내용을 홈페이지 게재했다. 이에 따르면 시 주석은 “중국과 한국은 가까운 이웃이자 지역 내 중요한 국가”라며 “양국관계를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발전시키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이어 ‘사드’라는 단어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채 “시 주석은 한국의 새 정부가 ‘중국측의 중대한 관심사’를 중시해달라고 말했다”며 “시 주석은 ‘구동화이(求同化異ㆍ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며 공감을 확대)’하도록 노력하고 갈등을 원만하게 처리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고 전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날 통화에서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진행된 중국의 보복 조치에 대한 우려 입장도 표명했다. 문 대통령은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과 국민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제재가 원만하게 해결될 수 있도록 시주석께서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달라”며 “북한의 추가적 도발이 없어야 사드문제 해결이 더 용의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양 정상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양국간의 긴밀한 협력도 확인했다. 문 대통령은 “북핵 문제 해결은 포괄적이고 단계적인 방식으로 압박과 제재와 함께 협상을 병행해야 한다”며 “북한에 대한 제재도 궁극적으로 북한을 핵 폐기를 위한 협상의 장으로 이끌어 내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에 시주석도 공감과 동의를 표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사드 갈등 관련 '문재인식 해법' 제시에 대해 정부는 일단 출발이 좋다는 반응이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통화 직후 신임 민정ㆍ인사ㆍ홍보수석비서관 및 총무비서관과의 오찬에서 “방금 중국 시 주석과 통화했는데 아주 길어졌다”며 “(오늘) 통화가 아주 잘 됐다”고 평가했다.

정부 당국자는 “새 정부 출범으로 사드 배치 문제로 갈등을 빚었던 한중관계 개선의 모멘텀이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이 당국자는 “(오늘 정상간 통화는) 사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 하되 이와는 별도로 북핵 등 양국이 긴밀히 협력할 수 있는 현안에 대한 소통도 병행해 나가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성균관대 이희옥 성균중국연구소장도 “양 측이 더 이상의 관계 악화를 막기 위해 상황을 관리하고 소통 채널을 본격 가동하자는 데 합의한 것으로 보인다”며 “시 주석이 사드 갈등 국면 이후 처음으로 ‘구동화이’라는 단어까지 쓴 것은 '차이를 그냥 놔두지 말고 적극적으로 해결하자'는 뜻으로 해석된다는 점에서 양 정상간 첫 통화는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정상이 한국 새 대통령 취임을 축하하는 전화를 걸어온 건 이번이 처음이라는 점도 향후 사드 관련 갈등 해소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유지혜ㆍ위문희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