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사드 전개비용은 미국이 낸다" 거듭 강조

중앙일보

입력

지난 2일,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 체계가 배치된 경북 성주골프장으로 2일 주한미군이 헬기를 이용해 사드 운용에 필요한 유류를 수송하고 있다. 미군은 이틀 전 유조차 2대를 경북 성주군 초전면 성주골프장으로 반입하려다가 소성리 마을회관 인근에서 주민의 반대로 돌아갔다. 프리랜서 공정식

지난 2일,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 체계가 배치된 경북 성주골프장으로 2일 주한미군이 헬기를 이용해 사드 운용에 필요한 유류를 수송하고 있다. 미군은 이틀 전 유조차 2대를 경북 성주군 초전면 성주골프장으로 반입하려다가 소성리 마을회관 인근에서 주민의 반대로 돌아갔다. 프리랜서 공정식

국방부가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비용은 미국이 부담한다는 원칙을 거듭 밝혔다.

4일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방위비 분담금에 있어서 사드 전개와 운영 유지비용은 미국 측이 부담하고, 전기와 도로, 부지 제공 등은 한국이 부담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사드 배치는 "주한미군주둔지위협정(SOFA)규정에 나와 있는 대로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변인에 따르면 제공된 부지(성주골프장) 내에 새로 짓는 건물뿐만 아니라 전기세·운용유지비 등도 미국 측에서 부담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정오에 국장 TV뉴스만 시청하라고 지시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며 "국방부의 역할 중 하나가 국방TV를 관할하는 것인 만큼 좀 더 시청을 할 필요가 있다는 권장을 한 적은 있지만 지시를 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국방TV는 국방부와 군을 위해서 운영되는 홍보 매체인 만큼 군이 봐야 하지 않겠느냐"면서 "장병들에게 국방TV만 보도록 강요한 것은 없다"고 강조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