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세월호 시험 인양 브리핑..."각종 센서로 1m 인양 확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세월호 시험인양 작업이 시작된 22일 세월호 침몰 해역인 전남 진도군 동거차도 앞바다에서 잭킹바지선이 세월호 인양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 오종찬 기자]

세월호 시험인양 작업이 시작된 22일 세월호 침몰 해역인 전남 진도군 동거차도 앞바다에서 잭킹바지선이 세월호 인양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 오종찬 기자]

해양수산부가 22일 오전 10시부터 세월호 시험 인양 작업에 들어갔다. 오후 3시 30분쯤에는 해저면에서 약 1m를 인양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시험 인양이 마무리되면 본인양 절차에 들어가게 된다.

다음은 이철조 해수부 세월호 선체인양추진단장이 오후 5시 30분쯤 진도군청에서 진행한 세월호 시험 인양 브리핑 내용 전문이다.

시험 인양 계획 때 2~3시간이라고 했는데, 이번에 시간이 길어진 이유가 뭔가?
저번에 시험 인양이 2시간 내지 3시간 걸린다고 말씀드린 것은 모든 조건이 완벽하게 구비되고 당초 범위 내에서 실제 거동이 이뤄졌을 때(의 경우다). 저희가 산출한 예상 소요기간이다. 기본적으로 세월호는 수심 44m에 수중 무게만 8000t에 이르는 대형 구조물이다. 세월호 인양에 가장 중요한 첫 단계인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작업에 신중에 신중을 기하며 추진하게 돼 인양줄에 걸리는 인양력을 아주 천천히 단계적 상승을 시켰다. 선체 하중 분포에 대해 인장력을 계산하고, 그걸 다시 인양력에 반영하고, 이를 다시 선체 하중 인양력에 적용하는 반복 작업을 아주 신중하게 하다 보니 당초 말씀드렸던 시간보다 다소 지연된 점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작업환경이 바뀌거나 한 건 아닌가?
그때 말씀드린 작업환경은, 기본적으로 저희는 시험 인양을 양호한 조건에서 시행하도록 하게 돼 있다. 그래서 작업환경은 비슷하다고 본다. 저희가 이번에 사전 준비작업을 한 몇 시간 정도 늦게 한 점도 있다고 본다. 어제 기상 풍랑주의보 발효 여파로 오늘 새벽까지 기상이 썩 좋지 않았다. 사전 준비작업도 좀 늦은 점이 있다. 그렇지만, 어디까지나 선체 시험 인양은 충분히 저희가 합리적으로 예측했던 범위 내에 있었다고 말씀드릴 수 있다.

본 인양은 언제쯤 가능한가?
보도자료로 말씀드린 대로 잠수부가 투입된 상태다. 세월호 실제 현 상태에 대해 정밀한 육안조사를 시행할 계획이다. 선체가 걱정하실 정도는 아니고 약간 기울어졌다. (그래서) 선체 균형을 잡는 작업을 해야 한다. 인양줄에 걸리는 하중을 계산해 분포시켜 선체를 평평히 하는 작업을 한 다음에 인양 일정과 기상 상태를 종합적으로 감안해 기술적으로 본 인양에 착수할 수 있을지를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검토해서 말할 것이다.

1m 인양이 단정적으로 (자료에) 나오는데 육안 확인 진행은 무슨 의미인가. 1m 들었는데 (다시) 내릴 가능성도 있나?
1m 인양은 각종 센서가 부착되고 인양 와이어를 당기니까 (된 것이다.) 굉장히 합리적으로 유추를 할 수 있으나, 혹시 어떤 모니터링 기기의 이상 작동 여부가 있는지 확인해야 하고, 선상에서 예측하고 있는 상태와 실제 수중 바다 상태란 것은 확인과 확인을 거듭해야 하는 신중한 작업이라 생각한다. 본 인양에 추가작업, 시험인양 이후 후속 공정이 이어지면 당연히 후속작업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다시 내려놓는 작업이 진행될 걸로 생각한다.

인양이 성공적 이뤄진다고 가정하고, 목포신항으로 미수습자를 (인양할) 구체적 계획 나와 있나?
미수습자는 목포 신항 부두에 거치하게 되는데, 세월호를 방역한다든지 선체 진입계획을 세운다든지, 제일 처음 중요한게 선체 위해도 조사다. 선체가 수색이나 수습할 인력들이 투입할 상황이 되는지다. 혹시 안전한 방법을 강구한 다음에 진입해야 하는지 등을 종합 고려한 다음에 세부 정밀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세부수색 계획은 세월호 선체 조사 위원회가 이번에 새로 발족될 예정이다. 조사위와 긴밀히 협의해 세부 수습계획을 만들겠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