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소변기 쳐다보는 여성 사진들 ‘소름’

중앙일보

입력

소변을 보고 있는데 바로 눈앞에서 젊은 여성이 바라보고 있다면 기분이 어떨까. 성균관대학교 남자화장실에서 일어난 장면이다.

[사진 SNS 캡처]

[사진 SNS 캡처]

성공회대 강성현 교수는 24일 자신의 SNS를 통해 성대에서 열린 학술회의에 참석해 화장실을 가던 중 소변기 위에 부착된 여성 사진을 보고 분노했다며 글을 남겼다.

강 교수는 “휴식시간에 동료 선생이 갑자기 화장실에 가보라길래 볼일이 생각나 갔다”며 “(소변기 위에 부착된 여성 사진을 보고) 황당, 난감, 곧 분노의 감정이 밀려온다. 참으로 한심스럽다. 도대체 누구의 발상이냐”며 분개했다.

공개된 사진에 따르면 소변기 앞 벽에 과일을 먹거나 눈을 반쯤 가린 채 훔쳐보듯이 바라보는 여성의 사진이 부착돼 있다. 강 교수가 문제 제기한 소변기 사진은 성균관대 국제관과 삼성학술정보관이 준공된 2009년부터 부착돼 온 것으로 알려졌다. 8년간 큰 논란 없이 존재한 소변기 위 여성 사진의 논란이 촉발된 것은 강성현 성공회대 교수의 페이스북 글로부터다.

이후 남자 화장실 소변기 위에 여성 사진이 부착돼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SNS상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성대 성차별 관련 한 커뮤니티는 해당 사진을 철거하기 위한 온라인 서명에 나서기도 했다.

[사진 SNS 캡처]

[사진 SNS 캡처]

성균관대 페미니즘 커뮤니티 ‘성대워치’는 지난 26일 학내 남성 화장실에 설치된 여성 사진 철거를 위한 온라인 서명운동을 시작했다. 성대워치는 “자신의 성기를 노출하는 매우 개인적인 공간인 화장실에 남성이 아닌 여성의 사진이 붙어있다는 것은 매우 이질적”이라며 사진 철거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사람 사진을 넣고 그렇게 쳐다보게 하는 소변기를 만든 것은 분명 잘못”이라며 “남성의 성기를 여성으로 하여금 바라보게 하는 등 여성을 이용했다는 점은 여성들에게 성적 불쾌감을 일으킨다”고 강조했다.

이에 일부 네티즌은 소변기 밖으로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한 것이 아니냐며 댓글을 달았다. 사진 속 여성이 보고 있으니 성적 피해자는 남성이라는 주장도 있었다.

여성 모델 사진이 넛지(Nudge·타인의 선택을 유도하는 행위)라는 주장이 나왔다. 지하철역처럼 이용객이 많은 남자화장실의 소변기 파리그림이 기억나는가? 파리에 집중함으로써 소변이 주위에 튀지 않게 하려는 의도인데, 마찬가지로 여성 모델 사진은 자신의 민감한 부위를 감추려 소변기 앞에 가까이 다가서게 하려는 목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강 교수는 “아름다운 화장실 문화조성 차원에서 소변이 튀지 않게 하려는 거라고 말하는 남자들. 제발 내 얼굴이 화끈거리니 그런 말 하지 마시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또 “여자가 훔쳐보는 것이니 남자가 피해자란 말 따위는 더더욱 하지 마시라”고 강조했다.

2011년 KT 광화문 사옥 올레스퀘어 남자화장실에서도 같은 방식의 여성 사진이 설치됐다가 철거된 적이 있었다. 당시 KT 측은 “여성 비하의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성대워치는 남자화장실 여성 사진 철거를 위한 온라인 서명을 학내 양성평등센터와 행정실 등에 제출할 예정이다. 성대 측은 이에 대해 “불필요한 논란을 피하기 위해 여성 사진 철거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