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단일후보 가시화|김대중의장 민주입당의 뜻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김대중의장의 민주당입당이 확정됨에 따라 그동안 관심의 초점이 되어 오던 야권의 대통령후보 단일화 문제가 민주당의 당내문제라는 성격으로 가닥을 잡게되었다.
양김씨가 민주당 내부에서 대통령후보를 정하기로 한만큼 이번 결정은 단순히 후보단일화가 가시화됐다는 측면과 더불어 앞으로의 정국이 체제 구심적으로 운영될 전망이 훨씬 높아졌다고 볼수 있다.
김의장은 지금까지 두개의 선택을 놓고 망설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하나는 민주당에 입당하여 당내의 경선 또는 양자합의에 의해 후보를 단일화하자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민주당을 제쳐놓고 당외작전을 통해 여론을 몰아 독자적인 후보옹립을 추진하는 것이다.
복권이후 지금까지 민주당입당을 미루어온 것도 이같은 당외작전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것으로 추측됐다.
김의장이 복권이후 『광주를 방문한후 입당여부를 결정하겠다』고 수차 강조한 배경에도 광주로부터 김대중바람을 몰아 이를 후보결정에 연결시키고자했던 것이 아닌가 보여진다.
그러나 수재등의 이유로 수차례 광주방문이 연기되면서 당내외로부터 더이상 입당을 기피할 명분이 없다는 압력이 거세어지고 현실적인 계산으로 민주당에 입당해도 결코 세불리하지 않다는 판단에 근거하여 당외작전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동교동계 의원들의 대부분은 김의장 자신이 만들어 놓은 민주당을 외면하고 또하나의 정당을 만들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후보로 나설 경우 여론의 악화를 막을수 없고 50대 50으로 나누어 갖고 있는 당세면에서 볼때도 경선하더라도 결코 불리하지 않다는 점을 수차 건의해 왔었다.
이번 입당결심으로 앞으로의 정국전개가 체제 내부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에서 환영할만한 일이다.
만일 김의장이 민주당의 입당을 늦추고 재야와의 합작을 계속 모색했을 경우 야권은 재야와 체제라는 양극화로 치닫게 되고, 이경우 정치적 안정을 유지하기가 극히 어려운 상태로 진입될 가능성이 높았으며 이의 반작용으로 여권도 정치체제 외부의 압력을 받을수 밖에 없는 형편이었다.
결국은 양극단 세력의 원심작용에 의해 정치무대는 깨질 가능성도 우려됐던 것이다.
앞으로 정국운영이 제도화된 절차를 따라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짐에 비추어 현재 진행중인 개헌협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또 김의장이 당밖에서 활동할 경우 지역감정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는 지적도 이번 결정으로 어느 정도 불식되리라 여겨진다.
일단 김의장이 입당을 결정한만큼 양김씨의 후보단일화는 어떤 방식으로든 이루어질 전망이 높아졌다.
경선이든, 양자합의든간에 당내에서 판가름 내게 될 수밖에 없게 되었으며 이 조정이 실패했다하여 어느 한쪽이 다른 방안을 뒤늦게 모색하기 어려운 국면이 되었다.
표면적으론 개헌안이 확정 될때까지 후보경쟁을 지양한다고는 하지만 두 사람중 한사람이 양보하지 않는한 경선은 불가피하게 되었다.
김의장이 『민주사회에서 후보의 경쟁은 당연한 것이며 이를 죄악시 말아야한다』 고 주장해온 점으로 볼때 김의장은 합의에 의한 양보보다 경선쪽을 염두에 두고 있는 듯하다.
반면 김총재는 『어떤 경우도 경선은 하지 않는다』 는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어 후보단일화 방식도 쉽게 결판이 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어떤 경우가 되든 양계보는 이미 당내 경선체제로 돌입했다.
양계보가 이미 대규모 계보사무실을 차려놓고 독자적인 후보옹립준비를 진행시키고 있다.
그러나 경선체제로 돌입하기까지 거쳐야할 난관은 한둘이 아니다.
크게는 양김씨간에 정치일정부터 합의해야한다. 김의장이 국회의원선거를 새정부이후 실시하기를 주장하고 있는 반면 김총재는 대통령선거 직후실시를 고집하고 있다.
당의 조직도 아직 정비되지 못한 상태다. 아직도 결정되지 않은 36개 지구당 조직책을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도 문제다.
김의장측이 36개 지구당에 대해서도 창당때와 같이 50대 50의 배분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김총재측은 국회의원 선거법이 확정될때까지 조직책 선정을 미루자고 고집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비교적 방관자의 자세로 있던 김의장이 당무에 일일이 개입하게될 경우 잦은 시비가 등장할 우려도 있다.
만일 이같은 당내 경쟁이 확대될 경우 양측은 어느 한쪽이 경선으로 이겼다 하더라도 당의 후보는 깊은 상처를 받을수 밖에 없고 이 상처가 대통령선거의 득표에까지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결국 민주당이 김의장의 입당을 무리없이 소화할수만 있다면 대통령선거 태세도 훨씬 강화된다고 볼수 있을 것이다.

<문창극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