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도전] 영양 가득한 마카다미아 초콜릿…‘하와이안 호스트’ 국내 판매 개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4면

하와이안 호스트의 마카다미아 초콜릿이 국내에 수입된다. 마카다미아는 식물성 지방 함량이 높고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사진 빙그레]

하와이안 호스트의 마카다미아 초콜릿이 국내에 수입된다. 마카다미아는 식물성 지방 함량이 높고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사진 빙그레]

하와이 지역 초콜릿 1위 브랜드인 하와이안 호스트 제품을 국내서도 구입할 수 있게 됐다. 지난 3일, 빙그레는 미국의 마카다미아 초콜릿 제조업체인 하와이안 호스트(Hawaiian Host)와 국내 유통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판매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빙그레

하와이안 호스트 초콜릿은 한국인 여행객이 하와이·괌·사이판 등 대양주 관광지를 여행할 때 반드시 구매하는 선물 아이템으로 인기가 높은 제품이다. 하와이안 호스트는 1927년 하와이의 작은 초콜릿 가게에서 시작됐다. 현재 하와이 프리미엄 초콜릿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회사다.

하와이안 호스트의 마카다미아 초콜릿 인기 비결은 핵심인 마카다미아에 있다. 하와이안 호스트의 모든 제품은 하와이산 고급 마카다미아만을 사용한다. 하와이는 19세기 후반부터 대규모 농장에서 마카다미아 재배를 시작했다. 일조량과 강수량이 풍부한 하와이는 마카다미아 재배에 최적지로 꼽힌다.

마카다미아는 특유의 감미로운 향기와 버터맛, 단단한 식감으로 인기가 많아 ‘견과류의 황제’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마카다미아는 견과류 중에서도 식물성 지방 함량이 높고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와이안 호스트에서도 초콜릿 생산과정에 있어서 마카다미아 투입 공정만큼은 숙련된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진행할 정도로 공을 들이고 있다.

시장조사회사인 닐슨코리아 자료에 따르면 국내 초콜릿 시장은 6000억원 규모로 정체상태에 있는 것으로 밝혔다. 하지만 프리미엄 초콜릿 시장은 2013년 1000억원에서 2015년 1150억원으로 성장추세에 있다는 분석이다. 빙그레는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높아지고 밸런타인데이나 크리스마스 등 선물용으로 초콜릿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면서 프리미엄 초콜릿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당분간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빙그레 관계자는 “연말에는 수능, 크리스마스 등 다양한 이벤트가 많아 초콜릿 판매가 급증하는 시기”라며 “빙그레가 가진 영업·유통망과 하와이안 호스트의 제품력이 시너지 효과를 통해 프리미엄 초콜릿 시장에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송덕순 객원기자 song.deoks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