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 막후실세 사임에도 파벌 갈등 계속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정유라(20)씨 특혜 입학 의혹으로 가중된 이화여대의 내홍이 계속되고 있다. ‘막후 실세’라고 불렸던 윤후정(84·사진) 명예총장이 16일 사임했지만 진정 효과를 내지 못했다.

“정유라 수사 앞두고 사퇴 선수 쳐”
장상 전 총장 인맥들 “사법처리를”
차기 총장 선출 방식 놓고도 대립

이화여대 학생과 교수들은 지난달부터 정씨와 관련된 의혹과 학내 분규 등의 책임을 지고 윤 전 명예총장이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1958년 교수로 부임한 윤 전 명예총장은 총장(1990~96년)과 재단 이사장(2000~2011년) 등을 역임하며 60년 가까이 학교에서 자리를 지켜왔다. 그는 오랫동안 ‘서열 1위’로 통했다. 익명을 원한 한 교수는 “그동안 윤 전 명예총장은 학교의 모든 중요 결정 사안에 관여해 왔다. 최경희(54) 전 총장이 정씨와 관련된 일을 윤 전 명예총장의 승인 없이 독단적으로 결정할 수는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30일 이화여대 평교수들은 교수협의회 홈페이지에 “윤 전 명예총장은 본분을 망각하고 봉건시대의 왕처럼 자신과 자신의 가신들을 위해 이화여대를 사유화해 왔다”며 사퇴를 촉구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학교에서는 윤 전 명예총장이 18일로 예정된 교육부 감사 발표와 검찰 수사 등을 앞두고 크게 부담을 느꼈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이화여대 재학생 이모(23)씨는 “큰 파문이 예상되자 윤 전 명예총장이 미리 선수를 치고 사임까지 한것 아니냐”며 “또 어떤 문제가 터져 나올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일부 교수는 ‘윤 전 명예총장파’와 ‘반대파’로 갈라져 갈등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 학교 한 관계자는 “이화여대에는 여러 파벌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윤 전 명예총장의 반대 쪽에 선 교수들은 대부분 장상(77) 전 총장 지지 인사들이다. 장 전 총장은 역대 이화여대 총장 중 거의 유일하게 윤 전 명예총장의 사람이 아니었는데, 일부 ‘장상파’ 교수들은 윤 전 명예총장의 사법 처리까지 주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화여대가 내년 새 학기 시작 전까지 매듭 지으려는 차기 총장 선출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화여대 교수협의회 측은 “비민주적으로 진행됐던 총장 선출 방식부터 뜯어 고쳐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홍상지 기자 hongsa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