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 체질 강화로 대비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연내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커졌다. 연준 부의장이자 옐런 의장의 대리인으로 불리는 월리엄 더들리 뉴욕 연방준비은행장은 16일(현지시간) “시장이 기준금리 인상 시기에 대해 너무 안일하게 대응하고 있다”며 9월 인상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장도 “올해 최소한 한 번 이상 금리인상이 가능하다”고 가세했다. 연내 인상이 어렵다고 전망해온 글로벌 금융시장엔 악재다. 한국을 비롯한 세계 증시가 대부분 하락하고 달러 강세가 나타나며 원화가치가 급락했다.

 아직 연준의 9월 금리 인상을 단정할 상황은 아니다. 실업률과 물가상승률 등 금리에 영향을 줄 미국 국내 요인들의 방향성은 아직 뚜렷하지 않다. 이번 발언을 한 더들리 등은 그동안에도 꾸준히 금리 인상 필요성을 언급해온 연준 내 강경파들이다. 그럼에도 경계심을 늦출 순 없다. 중국 경제가 예상했던 수준의 성장을 하고 브렉시트 충격이 일단락되면서 미국이 국내 요인만 보고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커진 것은 사실이기 때문이다.

 다행히 한국은 상대적으로 탄탄한 경제 기초여건을 자랑하고 있다. 외환보유액이 3000억 달러를 넘고 사상 최장이자 최대폭의 경상수지 흑자가 이어지고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이례적으로 국가신용등급을 AA로 올리는 등 대외 신인도도 어느 때보다 높다. 이전에 비해 외부에서 밀려오는 파도에 버틸 힘이 커졌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마이너스 금리나 브렉시트처럼 예전이라면 생각도 하지 못할 일들이 벌어지는 세상이다. 지금까지의 잣대로 안심해선 안 된다.

 방법은 우리 경제의 체질을 개선하는 것뿐이다. 내수를 키워 외부 충격에 취약한 수출 의존형 경제구조를 벗어나야 한다. 기득권보다 기술력이 통하는 시장이 필요하다. 서비스 산업과 신산업 연구·개발(R&D) 육성에 힘을 모으고 산업 구조조정과 노동개혁으로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 그나마 여유가 있을 때 단단히 대비하지 않으면 ‘한 방에 훅’ 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