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혈맹 복원' 발언의 진위…중국 측 "바로 잡아달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민주당 초선 의원단의 방중 활동 가운데 전해진 '조중(북중) 혈맹 복원' 발언의 진위 논란이 도마에 올랐다. 중국 측 인사들이 의원들과의 토론회에서 "한국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를 배치하면 중국은 조중 혈맹으로 회귀할 수 있다"는 경고성 발언을 했다는 게 민주당 의원의 전언이다. 하지만 중국 측은 "그런 발언을 한 적이 없다. 왜 하지도 않은 말을 퍼뜨리느냐"며 민주당 의원단에 정식 항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방중단의 일원인 신동근 의원은 10일 중국 싱크탱크인 판구(盤古)연구소 주최의 토론회에 참석한 뒤 한국 특파원단과의 간담회에서 "사드 배치와 관련해 한국에 가장 안 좋은 것은 중국이 북한과 다시 혈맹관계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중국 측이 발언했다"고 전했다.

이 발언은 앞으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한·중 공조에 균열이 갈 수 있다는 경고이거나 협박성 메시지를 담은 것으로 해석돼 국내 언론에 주요 뉴스로 보도됐다. 간담회 석상에서 민주당 의원 누구도 신 의원의 발언을 듣고 이의를 제기하거나 정정하지 않았다. 때문에 이 전언은 사실로 받아들여졌다.

중국 측의 항의는 이날 저녁 TV 뉴스가 방영된 직후 나왔다. 중앙일보 취재 결과 왕둥(王棟) 베이징대 부교수 겸 판구연구소 비서장은 방중단 대표격인 김영호 의원에게 전화를 걸고 "우리가 언제 조중 동맹 얘기를 언급했느냐"며 "사실 관계를 바로잡아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의원도 이 같은 사실을 시인했다.

이에 대해 발언의 당사자인 신 의원은 "방중 첫날 베이징대 교수들과의 토론회에서 나온 말과 이튿날 판구연구소 토론회에서 들은 말이 뒤섞여 잘못 전해진 듯하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중국 측 그 누구도 조중 혈맹을 언급한 적이 없다"고 항의를 해 온 당사자인 왕 교수는 두 차례 토론회에 모두 참석해 신 의원의 해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또 다른 중국 측 참석자도 본지와의 통화에서 "휴식시간에 잡담하며 그런 말이 나왔는지는 모르지만 토론회에선 조중 혈맹을 입에 올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영호 의원은 "토론회 석상에서 신냉전 구도, 다시 말해 북·중·러와 한·미·일이 대결하는 구도로 되돌아가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들었다"고 말했다. '북중 혈맹'에 대한 직접적인 발언은 없었음을 간접 확인한 셈이다. 김 의원의 말대로 중국 측 전문가가 신냉전 구도 형성에 대한 발언을 했을 순 있지만 이는 북중 혈맹 복원과 차원이 다른 내용이다. 결국 민주당 의원단은 두 사안의 차이를 간과했거나 의도적으로 과장해 발언했다는 의미다. 신 의원이 특파원단에게 전한 발언은 "중국의 사드 반대나 우려가 생각보다 심각하다고 느꼈다"는 점을 강조하며 나온 말이다. 또 다른 의원도 "중국이 사드에 공포를 갖고 있더라"고 전했다.

신 의원은 또 "황교안 총리가 6월 말 방중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을 만났을 때 중국측은 사드 배치 이후 처할 조치에 대해 한국이 책임져야 한다고 분명히 경고했다고 하더라"며 "중국측은 남중국해에 분쟁 결과가 나온 직후에 사드 배치를 발표해 더욱 격앙됐다"고 덧붙였다.

중국 전문가들의 항의 사실은 정치권에도 알려져 논란을 불렀다.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은 "중국측 전문가들이 북중 혈맹 복원 발언 논란에 정색해 항의한 것은 중국 당국의 공식입장과도 다르기 때문으로 참석자들이 상부에 경위서를 내고 경고를 받을 지경에 놓였다"며 왜곡된 발언의 정정을 요구하는 보도자료를 냈다.

한편 김 의원을 비롯한 의원단은 10일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함으로써 말 많았던 2박3일간의 방중 일정을 끝냈다.

'조중혈맹 복원' 발언의 진위…중국 측 "바로 잡아달라" 사실과 다른 것으로 밝혀져

본 인터넷 신문은 지난 8월 10일자 홈페이지 국제면 초기 화면에 “’조중혈맹 복원’ 발언의 진위…중국 측 “바로 잡아달라”’라는 제목으로 더불어민주당 신동근 의원이 사실 관계와 다른 왜곡 발언을 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그러나 사실 확인 결과 신동근 의원의 ‘북중혈맹 복원(회귀)’ 관련 발언은 북경대 국제관계대학원 좌담회에서 중국 측 교수로부터 나온 발언으로 당시 녹취록에 근거해 말한 것으로, 사실관계에 입각한 발언으로 밝혀져 이를 바로잡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베이징=예영준·신경진 특파원 yyjun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