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김장수 이틀 연속 불러 항의…러 “미사일부대 동부 파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중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 결정과 관련해 김장수 주중 대사를 이틀 연속 외교부로 불러 항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를 안보 이익을 해치는 행위로 규정한 중국의 강한 불만을 표시한 것이다.

기사 이미지

중국은 한국의 사드 배치 결정과 관련해 8일 김장수 주중 대사를 외교부 청사로 불러 항의했다. 김 대사의 차량이 청사를 빠져나오고 있다. [사진 신경진 특파원]

장예쑤이(張業遂) 중국 외교부 상무부부장은 한·미의 사드 배치 결정이 공식 발표된 8일 오후 김 대사와 맥스 보커스 주중 미국대사를 잇따라 외교부 청사로 불러 항의했다. 김 대사는 이날 오후 3시(현지시간)에, 보커스 대사는 오후 3시 반쯤 외교부 청사에 도착하는 장면이 목격됐다. 이날 이뤄진 한·미 대사의 초치(招致)와는 별도로 중국은 하루 전날인 7일에도 김 대사에게 항의의 뜻을 표명했다. 한국 정부는 사드 배치 발표 기자회견에 하루 앞서 외교 경로를 통해 사전 통보를 했다.

한국, 중·러엔 사드 결정 하루 전 알려
“중국, 발표 연기·취소 해달라 요구”

외교 소식통은 “추궈훙(邱國洪) 주한 중국대사와 알렉산드르 티모닌 주한 러시아대사에게 외교적 배려 차원에서 8일 발표가 있을 것이란 사실을 미리 알렸다”고 말했다. 서울에서 이뤄진 사전 통지 이후 베이징의 중국 외교부는 김 대사에게 중국 정부의 강한 반대 입장을 전달했다. 외교 소식통은 “이 자리에서 중국은 발표를 연기하거나 취소하기를 바란다는 뜻을 김 대사에게 전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는 8일 오전 11시 한국 정부의 발표 직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성명문을 내고 “중국의 안보 이익을 해치는 사드 배치 결정에 대해 강력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표시한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사드 배치 결정은) 한반도 비핵화 목표 실현에 더 불리하게 되고 한반도 평화와 안정 수호에도 이익이 되지 않으며 각 당사자들이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도 배치된다”고 주장했다.

중국이 강한 톤으로 사드 배치 결정에 반대하고 나섬에 따라 정부 간 외교 관계는 물론 경제·민간 교류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주중 대사관 간부는 “중국의 보복 조치로 한국으로 가는 관광객 수를 줄인다거나 향후 경제협력 속도를 조절하는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일들이 일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러시아 상원의 국방위원회는 8일(현지시간) 사드의 한국 배치 결정에 대한 대응 조치로 미사일 부대를 러시아 동부 지역에 배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신화통신이 전했다.

베이징=예영준·신경진 특파원 yyjun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