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란 협력, 산림분야도 본격화…산림청, 숲 복원·사막화 방지 나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산림분야에서도 이란과의 협력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지난달 테헤란서 협력 MOU 체결
“녹화기술·인력 진출 활성화할 것”

신원섭 산림청장은 “지난 5월 2일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서 코다카람 좔랄리(Khodakaram Jalali) 산림유역관리청장과 ‘한·이란 산림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앞서 이란정부는 한국의 성공적인 산림녹화에 관심을 갖고 2009년과 2014년 2차례 한국과의 산림협력을 요청했으며, 이번 양국 정상회담을 계기로 공식 MOU 체결이 성사됐다.

양해각서 체결에 따라 산림청은 이란의 산림복원에 적극 참여키로 했다. 산림복원은 조림 기술을 이란에 전수하고 예산도 지원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또 이란지역의 사막화·침식 방지, 산불·병해충관리, 기후변화대응, 산림공원관리 등의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양국 산림전문가를 이른 시일 안에 파견하고, 산림청은 이란의 산림공무원을 초청해 교육연수기회를 주기로 했다. 신 청장은 이번 방문에서 2021년 제15차 세계산림총회(WFC)의 한국유치 계획을 이란 산림유역관리청에 전달하고 지원을 요청했다. 신 청장은 “이란 측이 한국 유치를 지지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란 알보르즈 산맥 북쪽지역에는 산림자원이 풍부한 편이다. 유네스코 생물권보호지인 아라스바란 등 유명 산림지대도 있다. 하지만 테헤란 인근은 강우량이 적어 황무지가 된 곳이 많다. 이란 정부는 1960년대부터 황폐화되는 국토를 보호하기 위해 강력한 산림보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산림청은 이란 산림녹화 사업이 성사되면 다른 중동 지역 조림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신 청장은 “한국의 녹화성공 경험과 기술이 중동지역 황무지를 줄이는데 기여하도록 노력할 것”이라면서 “녹화기술과 함께 우리 기술인력이 해외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 간 협력과 교류도 활성화하겠다”고 말했다.

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