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현장에서] 지분 99% 기부하는 저커버그…한국이라면 세금 폭탄 맞았을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비영리기구(NGO) ‘유나이티드 웨이(United Way)’가 주최해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16일(현지시간)부터 3일간 열린 고액기부자 모임에 참석했다. 다소 의외였던 건 유명 NGO나 고액기부자가 한국의 기부 문화에 상당한 관심을 보였다는 점이다. ‘우리는 기부 후진국’이라 생각했던 게 오히려 자기비하처럼 느껴졌다.

국내 억대 기부자 5년새 10배
해외서도 ‘기부 한류’에 큰 관심

특히 이들은 한국의 1억원 이상 기부자 모임 ‘아너 소사이어티’에 호기심이 많았다. 불과 5년 전만 해도 102명에 불과했던 회원이 1105명으로 10배 이상 증가했기 때문이다. 고액기부자들은 아너 소사이어티 총대표인 최신원 SK네트웍스 회장에게 앞 다퉈 미팅을 요청했다.

기사 이미지

유나이티드 웨이에 100만 달러(약 11억원) 이상 기부한 고액기부자인 멕시코의 알폰소 빌랄바 뷔페티빌랄바로펌 파트너변호사는 “멕시코판 ‘아너 소사이어티’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기부 한류(韓流) 분위기 조성에 기업인의 공로를 부정하기는 어렵다. 이번에 주목받은 ‘아너 소사이어티’엔 최신원 회장을 비롯해 이희상 운산그룹 회장, 류진 풍산그룹 회장 등이 참여하고 있다. 허동수 GS칼텍스 회장은 아들 허세홍 GS칼텍스 부사장과 함께 부자(父子) 회원이기도 하다.

아너 소사이어티가 아니더라도 기업인들은 나름의 방식으로 기부 문화를 선도하고 있다. 조창걸 한샘 명예회장은 한샘드뷰(DBEW)연구재단에 사재(4500억원)를 기부했다. 벤처 1세대 정문술 전 미래산업 회장이 515억원을 한국과학기술원에 출연한 사실도 유명하다.

그러나 기업이 이익에만 목을 맨다는 차가운 시선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 문제 해결에는 무관심하다는 주장이다. 불경기라는 이유로 돈을 꽁꽁 싸매고 있다가 번 돈을 투자·임금·배당에 쓰지 않으면 세금을 물리는 ‘기업소득환류세제’가 등장하는 빌미를 제공했다.

기업 기부금의 상당 비율이 그룹 소속 공익법인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는 점도 아쉽다. 물론 자사 공익재단을 통해 기부금을 좋은 일에 활용한다면 충분히 유의미한 일이다. 하지만 구체적인 지출 내역을 알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기부금이 정말 유용하게 쓰였는지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정부도 기업인의 기부를 막는 규제를 개선해야 한다. 예컨대 우리나라에선 기업 지분의 5% 이상을 기부할 경우 왕창 세금을 문다. 시가 450억 달러(약 52조원) 상당 페이스북 지분 99%를 기부하기로 한 마크 저커버그가 우리나라 사람이었다면 세금 때문에 기부를 포기했을지 모를 일이다. 기부금을 1000만원 이상 모집할 때는 정부에 사전 등록해야 하는 제도 역시 획일적으로 적용돼 크라우드 펀딩 방식의 기부를 막는 규제로 꼽힌다.

기사 이미지

문희철
경제부문 기자

기부는 어렵고 힘든 사람에게 힘이 되기도 하지만, 부의 재분배 기능도 한다. 기부 문화가 확산한다면 양극화 등 사회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선순환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기업인의 모습을 목격하면서, 국외에 기부 시스템을 수출하는 ‘K-기부’ 시대를 꿈꿔본다.

문희철 경제부문 기자 report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