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문 닫아도 달라지지 않는 중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기사 이미지

윤병세 외교부 장관(왼쪽 둘째)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오른쪽 둘째)은 11일 오후(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양자회담을 열고 북한의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에 따른 대북제재와 관련해 논의했다. 윤 장관은 왕이 부장에게 “중국이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책임 있는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사진 외교부]

한·중 외교수장이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이후 처음으로 얼굴을 맞댔다.

왕이·윤병세 만나 대북제재 협의
사드 관련 “신중 대처해야” 주문
중국 외교부 발표엔 “엄중한 우려”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독일에서 열리는 뮌헨안보회의를 계기로 11일 오후(현지시간) 40여 분간 만났다. 하지만 고강도 제재에 반대하는 중국의 기본 입장엔 변화가 없었다.

한·중 간 의견 차는 12일 양국 외교부의 회담 결과 발표에서 드러났다.

외교부에 따르면 윤 장관은 왕이 부장에게 최근 유엔 방문 결과를 설명하며 “ 북한이 5차, 6차 핵실험 도발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한 ‘끝장 결의’(terminating resolution)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가 개성공단 중단을 결정한 배경을 설명하며 “중국도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책임 있는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왕 부장도 새로운 안보리 결의 협의를 가속화할 필요성에 공감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또 왕 부장이 “한반도 정세가 악화되고 매우 복잡해졌다. ‘안보와 관련된 조치’를 취하는 데 있어 주변국의 이해와 우려를 감안해 신중히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고 했다.

외교부는 왕 부장 발언을 소개하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란 단어는 언급하지 않았다.

중국 외교부가 전한 왕 부장의 발언은 달랐다. 왕 부장은 “ 안보리가 새 결의안을 조속히 통과시켜 진일보된 조치를 통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계획을 효과적으로 저지하는 것을 지지한다”면서도 “제재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없으며 한반도 핵 문제를 협상의 궤도로 돌려야 한다”고 했다고 발표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전인 지난달 27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의 회담 때 한 발언과 같았다.

 한국 발표엔 없는 사드도 등장했다. 왕 부장은 “사드 배치 논의가 지역 평화안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중국의 전략적 안보이익에 손실을 가져온다”며 ‘엄중한 우려’를 표했다고 중국 외교부는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윤 장관이 한·중 관계를 ‘역대 최상’이라고 표현하면서 “사드 배치와 관련해 중국과 계속 소통하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 역시 한국 발표엔 없는 내용이었다.

  한국이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이란 강수를 쓴 직후 이뤄진 회담이었는데도 양국 입장 차이가 부각됐다.

외교부 당국자는 “당장 중국이 급격하게 변하길 기대하긴 무리”라며 “왕 부장이 ‘진일보된 조치’나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계획 저지’를 언급한 것은 진전된 태도”라고 했다.

 한편 황교안 국무총리가 오는 3월 22일 중국 보아오(博鰲)에서 열리는 보아오포럼에 불참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정부 관계자가 12일 말했다. ‘아시아판 다보스포럼’으로 불리는 보아오포럼에 한국은 주로 총리가 참석해왔다.

하지만 다른 정부 고위관계자는 “지난 10년간 총리가 참석한 것은 몇 번 안 되고 지난해에도 안 갔다. 유일호 경제부총리가 참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