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부진 속 증권사 애널리스트 5년 전 대비 30% 감소

중앙일보

입력

 
증시 부진과 정보의 홍수 속에서 증권사 애널리스트의 수가 줄어들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28일 기준 국내 58개 증권사 소속 애널리스트는 모두 1064명이다. 지난해 초 1156명에서 1년 새 100명 가까이 줄어들었다. 2011년 초 1492명과 비교하면 30% 가량 감소한 수치다.

신규 채용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애널리스트 연령대도 높아졌다.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나이는 36.9세로 2011년 6월 33.4세에 비해 3.5세 정도 높아졌다. 20대 애널리스트는 155명으로 전체의 14.6%에 불과하다. 연령대는 높아졌지만, 평균 경력 기간은 5년 6개월로 짧은 편이다.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애널리스트는 172명뿐이었다.

이처럼 애널리스트가 감소한 건 증시 부진으로 기업분석 수요가 줄어드는 게 가장 큰 원인이다.

지난해 코스피 시장의 거래대금은 1290조원으로, 2011년의 1664조원에서 5년 새 23%가량 감소했다.

최근엔 대형 증권사조차 애널리스트를 별도로 채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신입직원 중 희망자를 리서치센터로 보내거나 저임금으로 2~3년간 근무한 리서치 보조 인력 중 유능한 사람을 애널리스트로 채용하는 일이 많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증권사 내에서 애널리스트는 돈을 벌기보다 ‘비용’이 들어가는 사업부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며 “애널리스트는 보통 계약직 신분이 많아 구조조정이 상대적으로 수월하다”고 말했다. 여기에 지난해 7월 도입된 ‘시장질서 교란행위’ 규제 강화로 애널리스트들의 운신의 폭이 좁아진 점, 리서치센터의 ‘매수’ 일색인 보고서가 시장의 신뢰를 잃은 점 등도 애널리스트의 입지를 좁히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