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2만4000명, 명절 코앞인데 월급 못받은 근로자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건설 현장에서 페인트 칠을 하는 김모(76·여)씨는 다가오는 설이 걱정이다. 차례상에 올릴 장을 봐야하지만 임금 체불로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아서다.

대구노동청, 설 전까지 집중 지도
체불 청산 전담반 꾸리고 비상근무
해결 의지 사업주에겐 대출 안내

김씨는 지난해 11~12월 대구시 동구와 경남 통영시의 두 건설 현장을 오가며 일을 했다. 하지만 고용주는 돈이 없다며 임금 340만원을 아직 주지 않고 있다. 대구고용노동청은 설 전 김씨의 체불을 해결하기 위해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기사 이미지

설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김씨처럼 임금 체불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많다. 체불로 고통받는 대구·경북 지역 근로자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2만4000여 명, 체불액은 950억여 원이다.

대구고용노동청은 다음달 5일까지를 ‘체불 임금 청산 집중 지도기간’으로 정했다. 설 전까지 체불을 해결하기 위해서다. 근로감독관으로 체불 청산 전담반도 꾸렸다. 근로감독관들은 2인 1조로 비상근무를 하고 있다.

대구고용노동청은 해결 의지가 있는 사업주에겐 싼 이자로 대출을 안내하고 있다. 근로복지공단을 통해 최고 5000만원까지 빌려준다. 이자는 담보가 있으면 연 2.7%, 신용보증일 땐 4.2%다. 근로복지공단과 연계해 체불 근로자에게도 연리 2.5%로 1000만원(체불 임금 범위 내)까지 생활비를 빌려준다.

최기동 대구고용노동청장은 “포항의 철강, 구미의 전자 업종이 장기간 불황에 빠지면서 체불 근로자 수가 더 많아졌다”며 “지자체나 수사기관과 협조해 사용자에게 체불 임금 청산을 독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윤호 기자 youknow@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