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최영진의 부동산 맥짚기] 집 사려면 대출 규제 눈여겨 봐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기사 이미지

최영진
부동산전문기자

내년 주택담보대출 기준 강화에다 미국의 금리인상 여파로 주택시장 분위기가 냉랭해졌다. 미분양 아파트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가 하면 거래량도 주는 형국이다. 주변 정황은 매우 비관적으로 흐르는 듯 하다. 집값이 하락할 것이라는 견해가 주류를 이루면서 시장이 위축되는 모습이다.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고 하는데 누가 집을 사겠는가. 이런 분위기가 지속하면 여러 부작용이 나타날지 모른다.

 주택경기가 죽게 되면 가장 아픔을 겪게 되는 부류는 새 아파트에 입주를 앞둔 사람들이지 싶다. 기존 주택이 안 팔려 새집으로 이주가 쉽지 않다. 그렇다고 마냥 집을 비워둘 수도 없다. 입주기한이 지나면 대출이자를 비롯한 각종 비용은 다 계약자가 부담해야 한다. 기존 주택을 싼값에 처분하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지만 그 돈으로 잔금을 맞춰야 하는 입장에서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이런 와중에서도 집을 사는 사람은 분명 있다. 이들은 어떤 계층일까. 상식적인 얘기지만 자녀 학교나 직장 문제로 이사가 불가피한 수요가 여기에 속하고 살던 집을 팔아 좀 큰 집을 사려는 부류도 이 범주에 포함된다. 집이 한채인 사람이 거처를 옮겨야 하는 입장에서는 집값 하락은 문제되지 않는다. 싸게 팔고 싸게 사니 그렇지 않겠는가. 이와 달리 겉으로 드러나는 소득이 적거나 신용상태가 좋지 않은 사람은 집 구매시기를 놓고 깊이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 돈이 없는 사람이 무슨 집이냐고 반문하겠지만 실제로는 어느정도 돈을 축적해 놓았거나 부모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런 부류는 주택 매입여부를 한참 따져봐야 한다는 얘기다. 왜냐 하면 내년 대출심사가 까다로워지면 대출금이 줄어들어 집 살 돈이 모자라는 처지가 된다. 또한 상환조건이 바뀌어 1년이 지나면 이자와 원금을 함께 갚아 나가야 한다.게다가 국내 금리가 오를 경우 상환금 부담은 더 늘어날 게 분명하다.

 그래서 꼭 집이 필요하면 대출규제가 강해지기 전에 사는 게 유리한 측면도 없지 않다. 적어도 3년 간은 이자만 내고 버틸 수 있기 때문이다.

 집값이 큰 폭으로 떨어질 것으로 확신하는 사람이라면 세들어 살다가 다시 오를 쯤에 집을 사는 방법을 택할 것이다. 문제는 전세집을 찾는 수요가 늘어나면서 주요지역의 전셋값이 치솟아 그만큼 주거비 부담이 많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모르긴 해도 전셋값이 얼추 집값의 80~90%로 치솟는 곳도 나올 것이다. 그러나 침체기를 지나면 시장은 다시 정상을 되찾게 돼 있다.

 이제부터는 오래 거주할 요량으로 거처를 정해야 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가격이 오르는 곳이라면 금상첨화가 아니겠나. 수요가 풍성한 지역은 경기가 침체돼도 금방 회복되고 궁극적으로는 가격도 오른다. 선진국의 대도시 사례를 봐도 그렇다. 우리도 그런 궤도를 밟는다고 봐야 한다. 

최영진 부동산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