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버스 준공영제, 업체 반발로 계획 밀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충북 청주시가 시내버스 준공영제와 택시 감차를 앞두고 업계와 마찰을 빚고 있다. 청주시는 17일 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을 위한 회의를 열었지만 최대 버스업체인 우진교통이 불참해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당초 6개 버스업체와 합의를 거쳐 준공영제 시행안을 발표하려던 청주시는 계획을 연말로 미뤘다.

택시 감차도 보상금 놓고 갈등

 우진교통은 “보조금 부정 비리를 막을 수 있는 재정 투명성 제도가 마련되지 않으면 준공영제에 참여할 수 없다”고 밝혔다. 우진교통은 청주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400여 대 중 110대를 보유하고 있다.

 택시 감차는 1대당 1300여만원인 보상금 때문에 업계의 반발이 크다. 청주시 개인택시면허 거래가격은 1억500~1억1500만원 수준. 시는 감차 보상비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은 개인과 법인택시 업계가 출연금을 모아 보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택시업계는 “감차 보상비가 터무니없이 낮다”며 “보상금을 늘리거나 감차 규모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종권 기자 choig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