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분수대

원조 실크로드 종착역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5면

남정호
남정호 기자 중앙일보 칼럼니스트
기사 이미지

남정호
논설위원

중국 산시(陝西)성 성도(省都) 시안(西安) 북동부의 찬바생태공원에 가면 생각하지도 못한 기념물과 마주하게 된다. 불국사 다보탑과 똑같이 생긴 ‘한·중 우호상징탑’이다. 경상북도가 2013년 산시성과의 자매결연을 기리기 위해 올 5월 이곳에 세웠다.

  시안은 중동·유럽과의 교역을 주도하던 국제도시다. 중국에선 실크로드의 시발점이자 종착역으로 통한다. 이런 곳에 우호탑이 들어선 데는 경주와 시안이 21년 전 자매도시 관계를 맺은 뒤 교류해온 덕도 컸다.

 하지만 우호탑을 위해 요지를 내줄 정도로 경주를 배려했던 시안 주민들의 태도가 최근 싸늘해졌다. 경주가 스스로 비단길의 종착역이라고 선전하며 8월 말부터 ‘실크로드 경주 2015’ 행사를 연 탓이다. 얼마 전에는 시안에서 열린 학술행사에서 한국 학자들이 “비단길 종점은 경주”라는 논문을 발표한 적도 있다. 자연히 경주 관련 기사가 인터넷에 뜨자 “말도 안 되는 소리”라는 중국인들의 댓글이 줄을 이었다.

 실크로드의 종착역을 자부하는 건 경주뿐 아니다. 일본의 옛 도시 나라(奈良)도 마찬가지다. 이곳에 위치한 왕실창고 ‘쇼소인(正倉院)’ 안에서 페르시아 유리그릇, 인도 비파 등이 발견된 까닭이다.

 신(新)실크로드의 거점도시로 각광받게 된 시안으로서는 “내가 원조”라고 나선 경주·나라가 고울 턱이 없다. 원조 논란은 옛 비단길을 개발해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겠다는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사업’이 힘을 받으면서 더 뜨거워졌다.

 하지만 다른 목소리도 들린다. “일대일로 사업의 범위를 넓혀야 하는 판에 이웃나라가 관심을 갖는 건 환영할 일 아니냐”는 반박이다. 요즘 중국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불붙인 일대일로 열기로 온통 난리다. 지방 정부는 물론 모든 조직이 보탬이 될 일을 찾는 데 혈안이 됐다. 베이징의 경극단마저 비단길을 소재로 한 새 작품을 창작할 정도다.

 공산당은 대외 선전에도 열심이어서 지난 14~15일에는 20여 개국 정치인들을 베이징으로 초청해 일대일로 관련 토론회를 열었다. 현재 한국과 일본은 협력 대상국에서 빠진 걸로 보도되지만 당 고위 관계자는 “두 나라의 동참을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한국은 방관하는 모습이다. 토론회에 오기로 했던 국내 정치인 대부분이 불참한 사실이 이를 말해준다. 국가적으로 큰 이익을 챙길 수 있는 중국판 ‘마셜 플랜’이 일대일로 사업이다. 막대한 국익이 걸린 만큼 이제라도 적극 참여를 검토해볼 일이다.

남정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