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중부지방 가뭄 … 중장기 수자원 확보대책 세워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중부지방의 가뭄이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주 잠시 내린 단비도 42년 만에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이 지역을 해갈시키기엔 역부족이었다. 국토교통부가 오는 8일부터 보령·서산·당진·서천·청양·홍성·예산·태안 등 충남 8개 시·군 지역에 물 공급량을 줄이는 급수조정에 들어가기로 했을 정도다. 이 지역에 물을 공급하던 보령댐의 저수율이 평년의 3분의 1 수준인 23%까지 떨어졌기 때문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마른 장마가 이어지면서 2년 연속 목마른 세월이다.

 물론 가뭄은 자연재해다. 따라서 위기극복을 위해선 당장은 한정적인 수자원을 합리적으로 나눠 쓰고 아껴 쓰며 서로 고통을 분담하고 배려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하지만 이제는 이러한 대증요법을 뛰어넘는 중장기 대책을 세워 가뭄에 근본적으로 대비해야 할 때다. 환경부와 기상청은 지난 3월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로 가뭄 발생 주기가 점차 짧아지고 있고, 갈수록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기후 패턴 변화를 감안하면 보다 적극적이고 강력한 가뭄대책이 절실하다. 중장기적으로 수자원을 확보하려면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을 모두 동원하는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 우선 4대강 사업으로 16개 보에 확보한 물을 가뭄 지역으로 보낼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명박 정부 때 실시해 효과를 보고 있다는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의 확대도 검토해야 한다.

 강수예보의 정밀도를 높이고 댐 방류량의 과학적인 조절 기술을 확보하는 등 기존 댐의 저수용량을 확대하는 노하우도 적극 개발해야 한다. 중국과 미국 등지에서 활용 중인 인공강우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투자도 절실하다. 장기적으로 대형 다목적댐을 다시 짓는 방안도 고민해야 할 것이다.

당장은 생태계 보호와 수자원 확보 사이에서 균형을 취할 수 있는 미니댐과 중소 규모 저수지의 건설부터라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국토면적에 비해 인구수가 많은 한국은 1인당 연간 강수량이 세계 평균(1만6427㎥)의 6분의 1인 2629㎥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