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들, 출근시간 때 선정적 기사로 '악마의 편집'

중앙일보

입력

다음과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 업체들이 출근시간대 성(性)ㆍ살인ㆍ폭력 등을 다룬 ‘낚시성 기사’를 꾸준히 게재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4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 소속 새누리당 김학용 의원이 공개한 국감자료를 통해서다.

김 의원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1~9월까지 다음과 네이버가 오전 8시를 기준으로 출근시간대에 메인화면에 올린 기사는 모두 1만4742건이었다. 그런데 이중 약 10%인 1477건이 성과 자살ㆍ살인ㆍ폭력 등 선정적인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었다. 해당 기간이 273일인 만큼 하루 평균 5.4건의 성정적 기사가 출근시간대에 전면 배치된 셈이다. 이 같은 기사 배치는 출근길에 휴대전화 검색을 자주하는 젊은층을 유입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김학용 의원은 “포털업체들은 ‘선정적 기사는 지양하고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사실은 자체적으로 기사를 배열하면서 이용자들의 클릭을 유도해서 광고비를 올리고 있다”면서 “특히 출근시간대에 선정적 키워드가 담긴 기사를 전면배치하는 것은 ‘악마의 편집’이라고”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포털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남궁욱 기자 periodist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