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싫어요’ 버튼 거부하던 페북 드디어 만드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가 ‘싫어요’(dislike) 버튼과 유사한 공감(共感) 기능을 추가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커버그는 15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먼로파크 본사에서 진행된 이용자와의 질의응답에서 이같이 말했다.

 페이스북에는 다른 이용자의 게시물에 엄지손가락을 치켜든 모양의 ‘좋아요’(like) 버튼이 달려 있다. 이용자들은 그동안 ‘싫어요’ 버튼을 만들어달라고 요구해 왔지만 페이스북은 “15억 명의 이용자가 긍정적 상호작용을 하길 바란다”며 거부했다.

 저커버그는 “이용자들이 공감을 표시하길 원하는 걸 알고 있다”며 “슬픈 일이 있을 때 ‘좋아요’ 버튼을 누르는 게 적절치 않으며 슬픔을 이해한다는 표현을 하고 싶어 하는 것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족이 사망했거나 시리아 난민 위기와 같이 슬픔을 나누고 싶어 하는 이용자들의 요구를 해결할 수 있도록 연구 중”이라고 했다.

 새로운 공감 버튼을 도입하는 문제는 간단치 않다. 다른 이용자를 깎아내리거나 비난하는 용도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저커버그는 “누군가 슬퍼하거나 화가 났을 때 공감을 표현하기 위한 용도로 제한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페이스북이 ‘싫어요’ 버튼을 만드는 것은 뉴스피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미 시사주간지 타임은 “개인별 맞춤 뉴스피드를 제공하기 위해 지금까지는 수많은 변수를 고려해야 했지만 개인의 ‘좋아요’와 ‘싫어요’가 표시된다면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보도했다. 이어 “‘싫어요’ 버튼이 이용자들이 사이트에 머무는 시간을 늘려 광고의 효율성을 높이게 돼 저커버그와 페이스북 주주들에게 더 많은 수익을 안겨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동현 기자 offramp@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