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Fed 내일 금리 올릴 가능성 32% … 12월 인상 43%”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D-1.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9월 기준금리 결정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Fed의 통화정책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16~17일(현지시간) 정례회의를 연다.

 시장은 일단 ‘동결’ 쪽으로 기울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에서 보는 Fed의 9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32.0%로 낮아졌다. 6개월 전만 해도 이 수치는 47.9%였다. 대신 10월 인상 가능성은 38.8%, 12월 인상가능성은 43.3%다.

 Fed는 기로에 서있다. 시장은 Fed에 ‘세계의 중앙은행’인지, ‘미국만의 중앙은행’인지를 묻고 있다. 마치 미국 외교의 ‘개입주의’와 ‘고립주의’ 논란을 연상케 한다. 공통점이 있다. 개입주의는 나 홀로 고립을 택한다고 해서 미국의 안전이 보장될 수 없다는 데서 출발했다. 법은 Fed가 미국의 중앙은행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지표는 헷갈리지만, 실업률은 5.1%까지 떨어졌다. 2분기 경제성장률도 연율 기준 3.7%로 올랐다. 금리 인상 필요조건은 갖춰졌다. 하지만 충분치는 않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Fed가 자신을 ‘세계의 중앙은행’이라고 여기지 않는다고 해도, 세계 경제 불안이 미국으로 파급될 수 있다는 것을 안다”고 평했다.

 현 시점의 불안 요소는 중국발 경기 둔화다.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2007년 미국이 촉발한 금융위기로 세계 경제가 수렁에 빠졌을 때 서방 선진국을 대신해 경제 기관차 역할을 한 나라가 중국이다. 지난 8년 사이 세계 경제는 중국을 한 축으로 삼아 재편됐다. 중국의 성장 둔화는 중국에 자원을 파는 브라질·인도네시아 등의 위축과 상품을 파는 한국 등 신흥국의 부진으로 이어진다.

 역사적으로 Fed가 ‘마이웨이(My Way)’만 고집했던 것은 아니다. WSJ는 1998년 8월을 거론했다. 의장은 앨런 그린스펀. 러시아가 디폴트 상황으로 치달았다. 당시 그린스펀은 “미국만 세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번영의 오아시스로 남아있을 수 없다”고 선언했다. Fed는 얼마 지나지 않아 금리를 내렸다. 그린스펀의 후임인 벤 버냉키 시절에도 유사한 일이 있었다. 2013년 5월 버냉키가 자산매입 축소를 언급하자 세계 금융시장은 소용돌이쳤다. ‘긴축 발작’이었다. 버냉키는 넉 달 뒤 자산매입을 축소하지 않겠다고 번복했다.

 과거 Fed의 금리 인상은 번번이 세계경제 위기의 불씨가 됐다. 94~95년 금리인상(3.25%→6%)은 멕시코와 아시아 외환위기로 이어졌다. 2004~2006년의 인상(1.25%→5.25%)은 금융위기를 불러왔다. 객관적 여건은 지금이 과거보다 나쁘다. 2004년의 금리 인상 때 세계 성장률은 5.4%였다. 올해 국제통화기금(IMF)의 성장 예상치는 3.3%. 2007년의 중국 같은 구원투수도 보이지 않는다. “어차피 올릴 거면 10월까지, 혹은 12월까지 기다려보는 게 왜 문제가 되느냐”는 시장 목소리가 Fed를 압박하고 있다. Fed의 대답이 임박했다.

뉴욕=이상렬 특파원, 서울=하현옥 기자 is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