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41개사 15만 명, 내년 임금피크제 추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현대차그룹 41개 계열사가 내년부터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노조원만 4만6000명으로 국내 단일 사업장 최대 규모인 현대차가 속한 현대차그룹이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기로 해 다른 그룹사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현대차그룹은 청년고용 확대와 고용안정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2016년부터 전 그룹사에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겠다고 11일 발표했다. 임금피크제 적용 대상은 41개 계열사 직원 15만 명이다. 임금 지급률은 계열사 사정에 따라 결정한다. 간부사원부터 시행하되 노동조합과 협의해 전 직원으로 확대한다. 임금피크제 도입을 통해 마련한 재원으로 연간 1000개 이상의 청년 일자리를 추가로 만들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임금피크제 시행과 청년 일자리 확대는 고용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노조의 적극적인 협조가 관건이다. 근로기준법상 임금피크제 도입은 노조 동의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윤갑한 현대차 사장은 이날 울산공장 아반떼룸에서 열린 올해 임금 단체협상 16차 교섭에서 “노조가 통상임금 확대를 사회적 추세라고 주장하는 것처럼 임금피크제도 사회적 추세”라며 임금피크제 도입 논의에 불을 댕겼다. 이에 대해 노조는 “현대차가 공기업보다 먼저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한 것은 유감”이라고 응수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청년고용 등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선 임금피크제 도입이 꼭 필요한 점을 강조해 노조의 협조를 얻겠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해 계열사별로 각각 다른 정년 연한을 60세로 일괄 연장하기로 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500대 기업의 70%가 연말까지 임금피크제를 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LG·롯데·포스코·GS그룹은 이미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고 있다. 삼성의 경우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전자·금융 등 전 계열사가 만 55세 정년을 60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도입했다. 대신 임금피크제를 적용해 만 56세부터 매년 10%씩 임금을 줄이기로 했다.

김준술·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임금피크제(salary peak)=일정 연령에 이른 근로자의 임금을 줄이는 대신 정년을 보장하는 제도. 50대 이상 근로자의 경험과 노하우를 살리면서 실업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기업 입장에선 인건비 부담을 덜 수 있다. 반면 기업 특성을 무시한 채 일률적으로 임금피크제를 적용하면 임금 수준을 낮추는 편법으로 작용할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