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역대 담화 역사인식 재확인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박근혜 대통령은 3일 청와대에서 오카다 가쓰야 일본 민주당 대표를 접견하고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 “현안들을 하나하나 극복한 다음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박근혜 대통령이 3일 일본 제1 야당인 민주당의 오카다 가쓰야(岡田克也) 대표를 청와대에서 만났다.

 이 자리에서 오카다 대표가 “여러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일 정상회담이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하자 박 대통령은 “남아 있는 현안들에 대해 인내심을 갖고 하나씩 지혜롭게 풀어나가는 것이 양국 관계 개선은 물론 정상회담 개최 분위기 조성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거·현재·미래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양국 관계를 안정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과거와의 화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올해 들어서만 피해자 할머님 7분이 돌아가셔서 이제 마흔여덟 분밖에 남지 않았으며 평균연령이 90세에 가까운 고령인 점을 감안, 시급성을 갖고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령인 피해자 분들을 생각하면 사실상 지금이 해결을 위한 마지막 기회가 될 것”이라고도 했다.

 그런 뒤 “한·일 관계가 오늘날까지 발전하게 된 데에는 무라야마(村山) 담화, 고노(河野) 담화 등 식민지배와 침략을 반성하면서 미래로 나아가고자 했던 일본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전후 70년을 계기로 발표할 것으로 보이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담화’가 역대 담화의 역사 인식을 확실하게 재확인함으로써 양국 관계가 미래로 향하는 데 큰 기반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카다 대표는 “위안부 피해자 분들을 생각하면 죄송하고 수치스럽게 생각한다”며 “양국 정부 간 진행 중인 협상에서 양측이 서로 다가가 좋은 결과가 도출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오카다 대표가 집단자위권 행사 등을 담은 안보법제에 대해 언급하자 박 대통령은 “일본 내 논의가 평화헌법의 정신을 견지하면서 지역의 평화·안정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투명하게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사 관련 현안이 남아 있지만 안보·경제 등에 있어서 한·일 간 대화와 협력을 계속 강화해나가기를 바란다. 광복 70주년이자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의 모멘텀을 이어갈 수 있도록, 올해가 새로운 미래를 내다보며 한·일이 함께 협력관계를 돈독히 하는 해가 되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신용호·유지혜 기자 nov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