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창원시와 공동사업 안해” … 7000억 로봇랜드 조성 사업 삐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로봇랜드 조성 등 경남도와 창원시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대형사업이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홍준표 경남지사가 지난 22일 “더 이상 창원시와 공동사업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때문이다.

 로봇랜드 사업은 창원시 구산면 구복·반동리 일대 126만㎡에 국비 560억원, 도·시비 2100억원, 민간자본 4340억원 등 총 7000억원을 투입하는 대형사업이다. 지금까지 경남도 254억원, 창원시 540억원을 투입했다.

 하지만 도와 시는 민간사업자 선정을 놓고 갈등을 빚었다. 도와 시 등이 출자해 만든 경남로봇랜드재단이 최근 민간사업자를 울트라건설에서 대우건설로 바꾼 것이 발단이 됐다. 도는 지난해 10월 민간사업자로 선정됐던 울트라건설이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 후 대체 사업자로 현대산업개발과 협상을 벌이다 무산되자 대우건설로 사업자를 바꿨다. 이에 대해 창원시는 20일 “시와 사전 협의 없이 발표한 것은 원천무효”라고 반발하고 나섰다.

 그러자 경남도는 지난 21일 로봇랜드 사업에서 빠지겠다고 밝힌데 이어 이튿날 홍 지사가 다른 공동사업까지 하지 않겠다고 하지 않겠다고 초강수를 두고 나왔다. 그동안 새 사업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도가 공을 들였는데 시가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은 온당치 않다는 입장이다.

 ‘지능형 로봇개발 및 보급촉진법’에 따라 추진되는 로봇랜드사업은 시·도지사만 할 수 있다. 도가 빠지면 사업 주체가 모호해진다. 사업이 중단되면 옛 마산시와 사업대상 인근 주민의 반발도 예상된다.

 프로야구단 NC다이노스의 홈구장으로 사용할 창원 새 야구장 건설도 차질이 예상된다. 창원시는 국비 290억원, 도비 200억원, 시비 650억원, NC 100억원 등 1240억원으로 2018년 3월까지 야구장을 건립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 역시 “공동사업을 않겠다”고 한 경남도가 발을 빼면 예산확보가 불투명해진다. 시는 도비 200억원이 추가 투입되지 않으면 시비와 민간자본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위성욱 기자 w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