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헬스케어 "넥시움보다 효능·안전성 뛰어난 신약 개발중"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CJ헬스케어가 차세대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신약으로 글로벌 진출을 가시화하고 있다.

CJ헬스케어는 20일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신약 후보로 개발 중인 CJ-12420의 임상 3상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3상 임상시험은 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서울대병원·서울아산병원·삼성서울병원 등 전국 22개 병원에서 CJ-12420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넥시움’과 비교 평가할 예정이다. CJ헬스케어는 내년 CJ-12420의 3상 임상을 완료하면 2018년 출시를 목표로 국내 의약품 시판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위식도 역류질환은 위산이나 위 속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의 조직이 손상되거나 가슴 안쪽으로 타는 듯한 통증이나 쓰림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에는 위궤양·십이지장궤양·위식도 역류질환 등 위산관련질환에 주로 처방되고 있으며, 현재 아스트라제네카의 ‘넥시움’ 등 PPI계열 제품들이 주도하고 있다. 이 중 넥시움은 지금까지 전세계에서 년간 5조원 이상의 처방실적을 기록하며 글로벌 블록버스터로 명성을 날리고 있다.

CJ헬스케어에서 글로벌 신약을 목표로 개발 중인 CJ-12420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P-CAB(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칼륨 경쟁적 위산분비억제제)기전을 약물이다. 회사 관계자는 “현재까지 진행된 임상 1· 2상 결과 기존의 대표적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인 PPI계열 약물보다 우수한 위산분비 억제효과와 안전성을 갖춘것으로 확인된 차세대 약물”이라며 “3상 임상시험에서도 CJ-12420의 우수한 효력을 재현하면 기존 PPI계열 중심의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시장에 상당한 파급 효과를 끼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CJ헬스케어는 이번 임상과 별도로 글로벌 임상 파트너링 작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등 아시아 주요 파머징 마켓에서 선제적인 글로벌 임상을 통해 국내와 글로벌 시장 간 신약 출시 간격을 최대한 좁혀 라이센싱 가치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CJ헬스케어에서 개발중은 차세대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 신약후보물질인 CJ-12420은 지난해에는 미래창조과학부·산업통상자원부·보건복지부가 참여하는 글로벌 신약개발 프로젝트인 범부처 전주기 신약개발사업 과제에도 선정되기도 했다.

[인기기사]

·닭고기 조리법에 따라 콜레스테롤 함량 차이나 [2015/05/27] 
·국제성모병원 허위청구 폭로 직원, 20억원 요구 공갈범? [2015/05/28] 
·똥배 없애고 이두박근 만드세요 [2015/05/28] 
·의사들, 중재원 강제 자료 제출 요구안에 반발 [2015/05/27] 

권선미 기자 kwon.sunmi@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