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과학기술인력 유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과학기술입국의 한 전제가 되는 인력확보를 위해 정부가 실효 있는 조처를 마련한 것은 고무적이다.
지금까지 정원과 예산의 테두리에 묶여 있던 해외과학자를 무제한 유치한다는 과감한 조처다.
그 조처에는 해외과학자의 장기정착을 위해 연구소의 정규봉급을 지급하고 수당혜택도 늘려주는 외에 1인당 연5백만원 상당의 기본연구비도 지급하는 보조적 제도개선도 포함돼 있다.
이는 물론 정부산하의 연구인력 유치계획이지만 이 같은 정부의 이니셔티브가 우리나라 대학과 기업의 전반적인 해외과학 기술인력 유치 방침에도 적잖게 영향을 주리라고 생각된다.
물론 그간에도 우리 해외과학 기술인력들은 국내과학 기술발전을 위해 적잖게 돌아 왔다. 최근 LA타임즈에 의하면 68년부터 지금까지 유치 된 과학자수가 영구유치 4백5명, 일시유치 4백32명이 된다고 하며 86년까지 6백명의 재미 과학자가 귀국하게 되리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사실에 있어서 우리가 최신 첨단과학 기술을 발전시키기에 필요한 고급 두뇌는 그것으로 충분한 것은 아니다.
정부의 한 추산으로는 일년까지 적어도 5만명의 고급 과학기술 인력이 있어야 우리의 과학기술 진흥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리라고 한다.
그 수는 물론 해외의 인력을 유치함으로써만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국내대학과 연구소들이 길러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재도 해외의 우리 고급 과학기술 인력은 미국에만도 3천5백명에 이르고 있으며 그들이 모두 귀국하지 않는다 해도 우리과학기술발전에 유형 무형의 힘이 되리라는 것은 넉넉히 짐작이 된다.
해외과학자중 귀국을 희망하는 사람도 계속 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그들을 받아들여 나라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여건 조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귀국 과학기술자중에는 상당수가 처우·자녀교육 등 일신상의 이유로 정착을 꺼리는가 하면 연구의 자율성부족과 인간관계의 문제를 들어 일시 체류형식을 취하는 사람도 많다고 한다.
그런 이유들은 일부 정부나 기업의 연구·시설투자확대와 대우개선으로 해결할 수 있고 또 장기적 발전계획 속에서 넉넉히 해소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일시체재가 연구의 지속성이나 효과 면에서 바람직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볼때도 해외기술인력의 정착여건을 보장해주는 노력은 필요하다.
그러나 그전에 중요한 것은 해외과학기술 인력들이 조국에 봉사한다는 기본정신이 제고되어야겠다.
미국에서 공부를 마친 중공과 일본의 과학자들은 대부분 유학이 끝나면 본국에 돌아가고 있으며 국내 대우가 좋지 않은 인도과학자들 조차도 10명중 4명은 귀국을 서두른다는 한 보고도 있었다.
그에 비해 우리 과학자들 가운데는 국내에서 일반직 종사자에 비해 특급대우를 받으면서도 별별 과도한 요구를 하면서 국내 여건만을 탓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한다.
나라의 발전이란 과제 앞에서 정부와 기업들이 힘을 모으고 있는 현실에서 이는 불행한 일면이다.
하지만 이런 문제들도 궁극적으로 나라의 고급인력 수급양성계획이 궤도에 오르면 자연 해소될 문제들이다.
해외과학기술자를 무제한 유치하는 정책과 함께 근본적으로 국내의 고급인력 양성계획에 획기적 투자가 요청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