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안정의 유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개인이나 국가이건 간에 안정과 발전이란 물질적인 풍요는 물론이지만 정신적인 건전함과 올바른 가치관의 추구와 확립이 선결조건일 것이다. 개인적인 능력의 특출함이나 부의 성취가 그 개인이 소속된 사회에 대한 혜택으로 확산되고 국가적인 힘의 축적은 어느 특정 계층이나 부분적인 범위에 국한되지 않고 전체 국민의 공존 공영으로 균배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이 곧 사회안정과 질서의 기초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국부의 수직적 확대보다는 국민상호간, 국민과 정부 사이의 신뢰의 중요성이 더욱 높이 평가해야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전두환 대통령이 올해 제2차 사정협의회 전체회의에서 『정부와 관계기관은 계층·세대간의 불신 및 위화감 조성행위를 포함, 사회안정과 화합분위기를 저해하는 비리·폐습을 우선 제거하라』고 지시한 것도 바로 사회의 안정과 화합, 발전의 근본을 역설한 것이라 하겠다.
우리의 개인소득이 1인당 2천 달러에 육박할 정도로 전체적으로 생활이 윤택해진 것만은 사실이다. 초량목피로 주린 배를 채우던 기억,「보릿고개」라는 낱말도 이제는 사라진지 오래다. 도시에는 높은 빌딩이 숲을 이루고 거리에는 자가용 승용차가 가히 홍수를 이루고 있다. 농촌의 초가가 자취를 감추고 고속도로변에는 양옥집이 들어선 농촌마을도 많이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적인 성취가 과연 우리사회 전반에 균일화한 현상인가. 그리고 그 성취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인 정당성이란 입장에서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느냐 하는 질문에는 자신 있는 해답이 유보돼있는 상태이다. 그것은 아직도 우리사회에서 빈발하는 거대한 비리와 부정에 뿌리를 두고있다.
우리사회에 아직 이러한 부정과 비리가 뿌리 뽑히지 못하고 있음은 물질적인 성취에 비해 성취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가치추구가 잘못돼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물질만능사상의 팽배로 인한 성취위주의 사고방식이 엄존하며 자유민주주의의 기본 요소라 할 기회균등의 원칙이 완전히 지켜진다고 보기도 어렵다. 거기에서 불신풍조가 자라고 부화가 싹튼다. 안정과 화합이 없는 사회란 아무리 물질적 풍요를 누린다해도 행복한 사회라 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 해도 경제성장을 멈출 수는 없는 것이다. 더욱 강력히 경제적인 풍요는 추구돼야 하고 국제사회에서의 우리의 지위는 향상돼야한다. 그리고 사회적인 안정과 화합이 동시에 다져져야만 참다운 복지국가를 지향할 수 있다.
신뢰와 화합이 지배하는 사회는 우선 공직자와 사회지도층의 부패의 근절로부터 수범 돼야한다. 비리와 투기로 생기는 벼락부자가 큰소리치는 사회가 아니라 근면하고 성실하게 일하는 사람이 그 미덕의 댓가를 온당하게 평가받는 사회기풍의 조성이 근본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우리사회에 뿌리 내리고 있는 폐습과 폭력, 청소년문제들이 모두근면과 성실을 올바로 평가받지 못한데서 연유함을 깊이 인식할 일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