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불교의 쇄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이생철 불교 조계종 종정의 불교 정화와 개혁을 위한 「비 상대권」발동은 불교계는 물론 국민 모두의 큰 관심을 모으고있다.
이는 곤흥사 승려 살인 사건에서 비롯된 1천만 불자와 국민의 불교 쇄신 여망이 그만큼 컸기 때문이다.
대권의 핵심내용은 일체의 종단 종무행정 집행 잠정 유보와 불교제도 개혁 위원회(15∼20명) 설치.
이 종정은 비상체제의 봉은사 총무원 기능까지도 정지시키고 새로 설치되는 제도 개혁 위가 최소의 총무원 경상업무를 대행하면서 정학·개혁의 대업을 수행, 개혁제도에 따라 종단을 정상화시킨다는 것이다.
이종정의 대권은 비상종단 운영회의 상임위 등의 결의를 거쳐 23일까지는「종정교시」의 형식으로 발효된다.
이 같은 중정대권 발동은 종단비상사태에 따른 이종정의문공부 종단 대표권자 교체등록 (월4일)과 불교계 내외의 불교 쇄신을 바라는 열망을 뒷받침으로 하고있다.
곤흥사 사건이후 3개월 째 혼미를 거듭해 온 조계종 비상사태는 본래부터가 이종정의 적극적인 지도력 발휘를 통한 수습이 최선의 방법으로 손꼽혀왔었다.
『곤충미물도 분노하고 불교를 저주한다.』
주지자리 다툼으로 한낮 살인극까지 빚은 곤흥사 사건을 개탄한 이종정의 이 같은 교시는 많은 사람들의 가슴속 깊이 메아리 쳤고 불교쇄신 원력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이제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조계종의 쇄신 및 정상화는 폭넓은 여론수렴과 참단의 참회원력만 계속 뒷받침한다면 늦어도 금년 말까지는 새로운 모습의 갱신된 모습을 드러내 보일 것 같다.
곤흥사 사건으로 야기된 조계 종단의 비상사태가 한국불교에 던져준 시급한 과제는 종권의 교체나 단순한 책임자의 인책문제가 아니라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는 불교의 말세적 추락을 제도할 혁신 과정 화였다.
따라서 앞으로 정화법제정과 종헌·종법 등의 대수언백 하게 될 한국불교의 쇄신은 62년 통합종단으로서의 조계종 출범이후 2O년의 불교 사에서 빚어진 종회제도·종단제도·사찰운영·계율문제 등의 모순과 시행착오를 과감히 뜯어고치는 아픔을 자비 무량 십으로 참아나가야겠다.

<이은윤 문화부차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