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간소음 ‘스프링 바닥재’로 줄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아파트 윗집 바닥재에 스프링 같은 장치를 넣어 진동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기술이 나왔다. 한국기계연구원 김동훈 박사팀은 정밀 공작기계에 사용되고 있는 기술을 응용해 아파트 주민들 간 분쟁의 원인이 되고 있는 층간소음을 현재보다 30% 이상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아파트를 8분의 1 크기로 축소한 구조물을 만들었다. 윗집 바닥재 밑에 금속 방진판을 깔고, 그 아래 진동감지 센서와 ‘스프링’ 역할을 하는 완충기(MR댐퍼)를 설치했다. 센서가 신호를 보내면 완충기가 판을 흔들어 진동을 상쇄하도록 한 것이다. 매트 주위에 스프링을 달아 출렁이게 만든 운동기구(트램폴린)와 비슷한 원리다. 실험 결과 층간소음이 최대 32%까지 줄었다.

 바닥마감재를 두껍게 깔아 층간소음을 30% 이상 줄이려면 신축 아파트를 기준으로 3.3㎡ 당 50만 원의 비용이 든다. 바닥이 딱딱하지 않아 불편을 느끼기도 한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방법은 설치비가 3.3㎡당 10만 원 이하로 예상됐다. 김 박사는 “기준치를 넘는 진동이 있을 때만 완충기가 작동하기 때문에 내구성도 좋은 편”이라며 “한번 설치하면 10~15년 이상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원 측은 이 기술을 국내외에 특허 출원했다. 기계공학 분야 유력 국제저널인 ‘IEEE/ASME 트랜잭션스 온 메카트로닉스’에도 다음달 논문 게재가 확정됐다.

김한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