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평창올림픽, 강원도 넘어 대한민국의 행사 돼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구닐라 린드베리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조정위원장이 지난 16일 “평창 겨울올림픽의 분산 개최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지난달 초부터 이어진 국외 분산 개최 논란이 일단락됐다. 2018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도 20일 인프라 확충 등 2015년 주요 업무 추진 계획을 밝혔다. 그럼에도 어떻게 하면 보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느냐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은 내놓지 않아 아쉽다. 국외 분산 개최 논란의 원인이 됐던 비용 문제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사안이기 때문이다.

 평창 겨울올림픽에는 12조원이 넘는 정부 예산과 7000억원의 강원도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모두 국민의 세금이다. 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서는 준비 과정에서 한 푼이라도 더 아끼고 경기 뒤 시설 재활용 계획도 철저히 세워야 한다. 현재 계획대로라면 6개의 경기장을 새로 짓게 돼 있는데, 지혜를 짜보면 여기서 비용을 더 줄일 묘수가 없는 것도 아니다. 예컨대 강릉에 1079억원을 들여 새로 세우는 아이스하키 경기장과 1311억원을 투입해 신설하는 스피드스케이팅장은 기존의 서울 목동 아이스링크와 태릉 스케이트장을 각각 개·보수해서 사용하면 충분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2190억원의 비용과 환경 파괴 문제로 논란이 되고 있는 정선의 활강경기장은 1997년 겨울유니버시아드 때 사용했던 무주리조트를 손봐서 활용하면 문제가 없다고 한다.

 평창 조직위는 이런 아이디어를 활용해 전체 틀을 흔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토목공사 비용을 줄이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그렇게 하면 대회를 강원도가 아닌 대한민국의 행사로 확대하는 효과도 있다. 린드베리 위원장도 “경기장 사후 활용에 대해서는 명확히 해야 한다”고 강조하지 않았는가. 그런 만큼 대회 뒤 활용 방안이 모호한 시설을 과감하게 줄여야 한다.

 평창조직위와 강원도가 일부 경기장 건설을 포기하고 해당 종목의 국내 분산에 동의하는 통 큰 결단을 하면 중앙정부는 대회 성공을 위한 붐 조성을 책임지는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사실 대회는 불과 3년 앞으로 다가왔는데 현재 겨울올림픽에 대한 국민적인 기대는커녕 겨울 스포츠에 대한 관심도 시들한 것이 현실이다.

 정부는 88서울올림픽의 붐을 나라 발전의 기회로 활용했던 경험을 되새겨야 한다. 평창 겨울올림픽을 컨벤션·관광·레저 등 서비스 산업을 진흥해 경기를 일으키고 일자리를 만들 결정적인 계기로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대회지원위원회를 주재하는 국무총리와 문화관광체육부 장관 등이 책임지고 평창대회에 대한 국민적 호응을 얻어낼 범부처적인 노력을 진두지휘해야 한다.

 이러한 합리적인 역할 분담을 통해 평창 겨울올림픽을 서비스산업 진흥의 모멘텀으로 활용하는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강원도와 조양호 조직위원장 및 평창 조직위는 결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