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동네 박물관' 구경오세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달동네 박물관 안내인이 1960년대 수도국산 일대에 있던 솜틀집을 재현해 놓은 상가를 소개하고 있다. [동구청 제공]

국내 최초의 달동네 박물관이 21일 인천시 동구 송현동 수도국산에서 문을 연다.

구가 2002년 13억5000만원을 들여 300평 규모로 착공한 박물관은 전시실(222평)과 수장고(26평).사무실(32평) 등으로 꾸며진다.

전시실에는 낡은 판잣집과 빛 바랜 간판을 단 이발소, 솜틀집, TV시청가옥, 구불구불한 골목길 등 1960~70년대 수도국산 거리모습이 영화 촬영 세트장처럼 축소 재현된다.

또 당시 주민들이 사용했던 문패와 다듬잇돌, 인두 등 생활용품 수백여점과 그 시대 생활상을 보여주는 정감 어린 사진들도 전시된다. 수도국산 주민이자 중견 한국화가인 정석원(52)씨의 '동네'와 '청소차' 등 과거 수도국산의 풍경을 담은 그림도 선보일 계획이다.

구 관계자는 "달동네 박물관은 서민들의 진솔한 생활상을 그대로 재현한 공간으로 수도권 역사교육의 장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수도국산 달동네=1900년대 초 서민들이 몰려들면서 마을이 형성됐다. 수도국산으로 불리게 된 것은 당시 노량진에서 끌어온 물을 저장하는 수도국(현재의 상수도사업본부)이 생기면서부터다.

한국전쟁 이후 북에서 피란온 실향민들이 정착하고 60~70년대 충청.전라도에서 일자리를 찾아 몰려든 사람들이 대거 가세하면서 2000여 가구의 달동네가 됐다.

99년 주거환경개선사업이 본격화되면서 당시 현지 주민과 인천동구발전포럼이 달동네의 발자취를 남겨놓자는 주장에 따라 박물관 건립을 추진하게 됐다.

정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