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105층 조기 착공 효과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가 18일 발표한 투자활성화 대책 중 현대차그룹의 ‘삼성동 한전 부지’에 대한 2016년 ‘조기 착공’ 방침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정몽구 현대차 회장은 지난 2일 신년사에서 “삼성동 한전 부지에 105층 신사옥을 짓겠다”고 밝혀 관심을 끌었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해 9월 공개 입찰을 통해 10조5500억원을 주고 한전 부지를 매입했다.

먼저 정부는 현대차의 신사옥 건립이 속도를 낼 수 있도록 '건축 인ㆍ허가' 등의 규제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또 올해 안에 현대차의 6개 계열사 직원 1000여명이 조기 입주토록 허용할 계획이다. 이에 대한 반대 급부로 현대차가 토지 매입비 외에 5조원을 조기에 투입하면서 일자리 창출과 주변 상권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당초 한전 부지 개발과 관련해 착공하기까진 2~3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됐다. 해당 부지가 ‘일반 주거’ 지역으로 돼 있기 때문이다. 이 땅을 ‘일반 상업’ 지역으로 바꾸고 교통ㆍ환경ㆍ재해 영향 평가 등도 거쳐야 한다.

그러나 기존 절차를 다 밟을 경우 투자가 이뤄지는데 ‘최대 8년’이 걸린다는 분석이 나온다. 투자 효과도 그만큼 희석될 수밖에 없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착공 기간 단축과 관련해 서울시와 합의를 했다”며 “현대차가 3월에 개발계획안을 마련해 제출하면 본격적인 절차가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특정 기업에 파격적 규제 완화를 제공키로 한 것은 투자 규모가 ‘매머드 급’인데다, 해당 부지가 서울의 ‘황금알 상권’에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가 신사옥 건립에 투입할 비용은 5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 땅은 현재 서울시가 구상 중인 ‘마이스(MICE, 회의ㆍ포상관광ㆍ국제회의ㆍ전시회)’의 핵심으로 거론되는 지역이다. 서울시는 한전 부지를 포함해 코엑스~서울의료원~잠실종합운동장 일대 72만㎡를 미래 먹거리 산업의 핵심 공간으로 키우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서울 노른자 땅에 대한 투자 가치가 그만큼 컸기 때문에 부지 인수전이 벌어질 당시 미국의 유명 카지노 그룹인 샌즈와 중국의 최대 부동산 업체인 뤼디그룹도 가세한 것으로 전해졌을 정도다.

현대차 신사옥이 조기 착공되면 제2롯데월드에 이은 서울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부상할 전망이다. 한국도시행정학회는 현대차 신사옥이 완공될 경우 20년간 33조원의 소득 창출을 유발하고, 직ㆍ간접 고용이 131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일각에선 현대차가 쌍둥이 빌딩을 짓는 것도 가능하다는 얘기가 나온다. 신사옥이 지어지면 현재 양재동 사옥은 글로벌 연구개발(R&ampamp;D) 본부로 활용하게 된다.

김준술 기자 jsoo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