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위성 3호 '그래비티 충돌' 모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우주와 지구 관측이란 임무를 띠고 2013년부터 하늘을 날고 있는 과학기술위성 3호가 영화 ‘그래비티’에서 나왔던 충돌 위기에서 간신히 벗어났다. 미국과 러시아 위성이 2009년 충돌하면서 발생한 20㎝ 크기의 파편이 덮쳐 과학위성이 산산조각 날 뻔했던 것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4일 “오늘 오후 9시31분쯤 그린란드해 상공에서 우주 파편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던 과학기술위성 3호가 위험에서 벗어났다”며 “전날 위성과 파편과의 거리가 23m로 예상됐으나 그 거리가 1㎞ 이상 멀어졌다”고 발표했다. 애초 파편은 위성과 초속 11.4㎞의 속도로 부딪힐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김해동 IT융합기술팀장은 “초속 10㎞의 지름 1㎝짜리 구슬에만 맞아도 1.5t 트럭에 받히는 것과 같은 충격을 받는다”고 말했다.

 이 위성은 소형(크기 0.8m×1m×1m, 무게 170㎏)에 속하며 궤도 조정용 추력기를 갖추지 않았다. 이 때문에 파편이 정면으로 날아와도 비행 궤도를 바꿔 피할 수 없다. 미래부는 우주·파편의 최근접거리가 달라진 데 대해 “파편 크기가 작아 쉽게 궤도가 바뀔 수 있고, 애초 예측값이 추정치에 의존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팀장은 “한국은 우주쓰레기 정보와 관련해 미 합동우주작전본부(JSpOC)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며 “우주쓰레기가 늘고 있으나 이에 대비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은 2023년까지 정밀레이더·광학망원경 등으로 자체적인 우주 감시망 구축을 추진 중이다. 국내 위성을 위협하는 10㎝ 이상 우주쓰레기를 추적 감시하는 게 목표다.

김한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