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비급 인사들 참석불고, 알맹이가 없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서울플라자호텔에서 지난달 31일 열렸던 83년 「노·사·정중앙간담회」는 『참석인사들의 중량에 비해 너무 알맹이가 없었다』는 것이 주위의 촌평.
간담회참석자들은 근로자측에서 김규벽 한국노총위원장과 16개 산별노조위원장, 사용자측에서 신병현 무역협회회장·정수창 상공회의소회장·이동찬 경총회장, 정부측에서 정막주 노동부장관·정동철차관 등 우리나라 노동정책의 방향을 좌우하는 헤비급인사들.
회의는 노사간에 미리 작성한 「공동합의문」을 낭독한 뒤 「짝짝짝」 박수로 통과시키는 것이 고작.
애써 토론다운 토론을 찾는다면 「노·사공동합의문」 중 『…노사문제의 자율적 해결풍토를 「정착」시킨다』는 부분의 『「정착」이란 단어를 「촉진」으로 수정하는 것이 어떠냐』에 대해 10여분간 설왕설래한 것이 고작.
이날 취재기자들이 가장 큰 관심을 보였던 부분은 올해 정부가 제시한 「임금인상 6%선 억제·대졸초임동결」에 대해 노·사가 어떤 견해차를 보일 것인가 하는 점이었으나 참석자중 이 문제를 거론한 사람은 김동겸 전매노조위원장 뿐.
그러나 김위원장은 「정착」과 「촉진」을 둘러싸고 토론이 한창일 때 임금문제를 제기하는 바람에 정장관은 『노·사협의문제를 끝내고 얘기하자』며 가볍게 묵살.
등장관은 「노·사합의문」이 이의없이 통과되자 임금문제는 까마득하게 잊은 듯 폐회를 선언. 노동부의 한 관계는 그런데도 『예정시간을 1분밖에 초과하지 않은 성공적인 간담회였다』고 자화자찬.

ADVERTISEMENT
ADVERTISEMENT